원어 항목명 | Хан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
---|---|
영문 | Khan Sergey Michailovich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30년 |
---|---|
수학 시기/일시 | 1983년 |
활동 시기/일시 | 1980년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
몰년 시기/일시 | 2003년 9월 1일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시 |
거주|이주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활동지 | 우즈베키스탄 카슈가다리아주|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묘소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벡티미르 지역 |
원어 항목명 | Хан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한 고려인 학자.
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1930~2003]는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 정보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문화협회의 창설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의 아들은 한 발레리이다.
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는 1930년에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시에서 태어나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사마르칸트국립대학교를 졸업한 후 카슈가다리아주의 당 기관에서 일을 하였다. 1961~1964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사회과학아카데미에서 수학한 후 칸디다트 학위를 받았다. 1964년부터 1979년까지 타슈켄트 당 기관 학교의 학과장, 학장, 서기 등을 역임하면서 공산당 관료 양성에 주력하였다. 1980년 경찰대학교 교수로 활동하였고, 1983년에는 독토르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5~1988년 타슈켄트문화대학 부총장 및 총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에는 다시 정보학교의 교수로 복귀하였다. 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는 5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을 남겼는데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의 생활에 역점이 두어졌다.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말기에 전국적으로 확산되던 소수 민족의 문화 부흥 움직임에 관심을 두고 고려인들의 문화협회 설립에 큰 기여를 하였다. 2003년 9월 1일 타슈켄트 벡티미르 지역에서 사망하였다.
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벡티미르 지역 고려인 제2 공동묘지에 묻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