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7
신위(申緯) 저 《신자하시집 申紫霞詩集》, 박은식(朴殷植) 역 《서사건국지 瑞士建國誌》, 김건중(金建中) 역 《신편대한지리 新編大韓地理》, 무로츠(失津昌永) 저 주영환(朱榮煥)·노재연(盧載淵) 역 《만국지지 萬國地誌》, 박정동(朴晶東) 역 《국제공법지 國際公法志》, 황연덕(黃淵德) 역 《농학초계 農學初階》, 이필선(李弼善) 저 《신편박물학 新編博物學》, 최재학(崔在學) 역술(譯述) 박정동(朴晶東) 교열(校閱) 《간명물리학교과서 簡明物理學敎科書》, 장도(張燾) 편 《신구형사법규대전 新舊刑事法規大典》, 윤태영(尹泰榮) 저 《중등지문학 中等地文學》, 장지연(張志淵) 저 《대한신지지 大韓新地志》, 《신정중등만국신지지 新訂中等萬國新地志》, 최제우유교중앙총부(崔濟愚遺敎中央總部) 편 《동경대전 東經大全》, 《현행대한법규유찬 現行大韓法規類纂》, 홍양호(洪良浩) 저 《해동명장전 海東名將傳》, 《아미타경언역 阿彌陀經諺譯》.
-
1907
여성운동단체인 국채보상부인회(國債報償婦人會)· 감선회(減膳會)· 탈환회(脫環會) 등 조직됨.
-
1907
조세수납액 711만3798원, 총수입액 4143만6653원, 총수출액 1700만2234원.
-
1907
탁지부(度支部) 청사 준공.
-
1907
환등대회(幻燈大會)가 황성기독교청년회관(皇城基督敎靑年會館)에서 열림(〈기독일대기 基督一代記〉 · 〈태서풍경 泰西風景〉 등을 이상재(李商在) 해설로 상영).
-
1907
『신종』 러시아 관청에 의해 발행 금지
CIS
-
1907
『신종』 창간 추진
CIS
-
1907
강학제 출생
중국
-
1907
공진회 해체
북미
-
1907
국민단합회 설립
북미
-
1907
길림 변무 독판 공서 설립
중국
-
1907
김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출생
CIS
-
1907
김광진 출생
중국
-
1907
김규면 신민회 가입
중국
-
1907
김규면 신민회에 가입하여 신교육 운동에 참여
중국
-
1907
김규찬 출생
중국
-
1907
김립 서북학회와 신민회에 가입하여 청년운동
중국
-
1907
김만흥 출생
중국
-
1907
김사국 금강산 유점사에서 한학을 수학
중국
-
1907
김상신 이석용 의진에 입진
중국
-
1907
김좌진 호명 학교 설립
중국
-
1907
김창환 신민회에 가입
중국
-
1907
김필순 신민회의 회원으로 활동
중국
-
1907
김하구 신민회에 가입, 대한제국 궁내부 주사 역임
중국
-
1907
김호영 출생
일본
-
1907
노창율 출생
중국
-
1907
대련 여순 일러 감옥 구지 박물관 일제의 감옥으로 사용
중국
-
1907
동장영 출생
중국
-
1907
박득현 출생
일본
-
1907
박일병 길림성 연길현 용정촌에 설립된 서전서숙 졸업
중국
-
1907
배동건 출생
중국
-
1907
부호연회 설립
북미
-
1907
산연화총 발견
중국
-
1907
서전 서숙 개교
중국
-
1907
손정도 숭실 고등학교 입학
중국
-
1907
시천교 만주 포교 개시
중국
-
1907
신채호, 신민회와 국채보상운동 등에 가입, 활동
중국
-
1907
신춘 출생
중국
-
1907
안무 함일학교, 보성학교의 체육교사 근무
중국
-
1907
안중근 의사 유적 조성
중국
-
1907
안창호 대성 학교 설립
중국
-
1907
여운형 국채보상운동의 지회 설립
중국
-
1907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 설립
중국
-
1907
와룡동 교회 설립
중국
-
1907
와세다대학 조선유학생동창회 설립
일본
-
1907
용정시 개산둔진 광소 소학교 양정학당으 개교
중국
-
1907
우산하 고분군 내 산연화총 발견
중국
-
1907
의성회 결성
북미
-
1907
이갑 신민회창립
중국
-
1907
이상설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참석
중국
-
1907
이상용 협동학교 설립
중국
-
1907
이세영 독립 의군부 충청·전라·경상 3도의 사령관에 임명
중국
-
1907
이승희 성주 국채보상단연회 회장
중국
-
1907
이시영 신민회에 가담
중국
-
1907
이의석 출생
일본
-
1907
이추악, 평양 숭실학교 수학
중국
-
1907
일본 여순감옥 확장
중국
-
1907
임병국 안규홍 의진에 가담
중국
-
1907
장군총 현황 조사, 광개토왕릉으로 비정
중국
-
1907
정재면 상동 기독교청년학원 졸업
중국
-
1907
정재면, 용정 중앙교회를, 남공선이 와룡동 교회를 각각 건립
중국
-
1907
조동률 출생
중국
-
1907
창동 학교 설립
중국
-
1907
창동학교 인가
중국
-
1907
채찬 의병장 이강년 부대에서 활동
중국
-
1907
치치하얼시 흑룡강성 소재지
중국
-
1907
태왕릉과 통구고분군 전체 현황 조사
중국
-
1907
홍범도, 의병운동에 참가
중국
-
1907
황학수 동명 학교 설립
중국
-
1907.1
이홍래 오기호 등과 을사오적의 암살계획을 추진
중국
-
1907.1.5
김소운 출생
일본
-
1907.1.16
《대한매일신보》, 한일협약 부인한 고종의 친서(親書)를 게재한 《런던 트리분》의 기사 전재.
-
1907.1.30
재일본(在日本) 관비유학생(官費留學生)의 공수학회(共修學會), 《공수학보 共修學報》 창간.
-
1907.2
노소동맹회 결성
북미
-
1907.2.16
의병장 김성규(金成奎) 순국.
-
1907.2.18
한덕수 출생
일본
-
1907.2.28
한성수도공사 시작됨.
-
1907.3
「행정명령 589」 공포
북미
-
1907.3
양정 학당 설립
중국
-
1907.3.2
대동보국회 결성
북미
-
1907.3.3
『대한유학생회학보』 창간
일본
-
1907.3.3
재동경(在東京) 대한유학생회(大韓留學生會), 《대한유학생회학보 大韓留學生會學報》 창간.
-
1907.3.19
김해군민(金海郡民), 군수 양홍묵(梁弘默)의 증세(增稅)를 규탄하며 폭동 일으킴.
-
1907.3.19
이용익(李容翊)의 유소(遺疏), 《대한매일신보》에 게재(국가독립엔 인재교육이, 일본의 간섭을 피하자면 사립학교가 필요).
-
1907.3.25
나인영(羅寅永)·오기호(吳基鎬), 이홍래(李鴻來) 등, 5적(賊)의 암살을 기도, 먼저 조중응(趙重應)을 저격했으나 실패(4.1. 나인영·오기호, 평리원에 자수. 7.3. 관련자 30여 명 실형선고, 유 5년에서 사형).
-
1907.4
서전 서숙 재정난을 겪음
중국
-
1907.4
양기탁 신민회 창립
중국
-
1907.4
힐로 한글학교 개교
북미
-
1907.4.15
장로교파, 전주(全州)에 기전여학교(紀全女學校) 설립.
-
1907.4.20
통감부, 한국인여권규칙(韓國人旅券規則) 폐지, 외국인여권규칙 공포 시행.
-
1907.4.22
중추원, 군부(軍部)의 여단편제(旅團編制)건 의결.
-
1907.5
계동학교 개교
CIS
-
1907.5
대한유학생회 해체
일본
-
1907.5
이복림 출생
중국
-
1907.5.10
동명소학교 개교
북미
-
1907.5.10
송석준 사망
북미
-
1907.5.13
지방회규칙 공포(관민의 의견소통).
-
1907.5.20
『대한유학생회학보』 종간
일본
-
1907.5.31
각 관·공립소학교 훈련원에서 연합운동회 개최.
-
1907.6.2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일본인 고문 오오가키 다케오(大垣丈夫)를 추방.
-
1907.6.8
일본에 망명했던 박영효(朴泳孝) 귀국(7.12. 특사, 7.17. 궁내부 대신에 임명됨.).
-
1907.6.9
박희병 사망
북미
-
1907.6.29
차영수 출생
일본
-
1907.7.1
『동인학보』 창간
일본
-
1907.7.1
헤이그특사파견기사, 미국신문에 게재됨.
-
1907.7.4
국유미간지이용법(國有未墾地利用法) 공포.
-
1907.7.10
마산노동야학 창설.
-
1907.7.16
이완용(李完用),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
1907.7.20
실지회 설립
북미
-
1907.7.22
국민동맹회 설립
북미
-
1907.7.23
전 중추원 의관(議官) 이규응(李奎應), 내각을 성토하고 자결.
-
1907.7.25
이욱 출생
중국
-
1907.7.30
성벽처리위원회 설치.
-
1907.8
군대해산 때 급여한 은사금(恩賜金)으로 인해 대구(大邱)의 지폐가치 폭락.
-
1907.8
간도 자혜 의원 설립
중국
-
1907.8
간민 교육회 설립
중국
-
1907.8
서전 서숙 폐교의 위기에 처함
중국
-
1907.8
안중근 간도로 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활동
중국
-
1907.8
용정 조선 인민회 통감부 간도 파출소를 설치
중국
-
1907.8
장춘역 임시장춘역
중국
-
1907.8
통감부 간도 파출소 용정에 통감부 간도 파출소 설치
중국
-
1907.8.1
군대해산식, 훈련원(訓鍊院)에서 거행. 시위(侍衛) 제1연대 제1대대장 박성환(朴性換), 군대해산을 반대하여 자결(1869∼). 시위대(侍衛隊), 일병(日兵)과 충돌(이후 해산 군인, 각지 의병과 합류 전국적 항일전 전개).
-
1907.8.7
충주 공격.
-
1907.8.8
김 미하일 바실례비치 출생
CIS
-
1907.8.8
김기철 출생
CIS
-
1907.8.14
민긍호(閔肯鎬) 의병, 홍천읍(洪川邑) 점령. 동해안에 진출한 김덕제(金德齊) 의병, 평창(平昌)·진부읍(珍富邑) 점령.
-
1907.8.17
순검(巡檢)을 일본식 명칭인 순사(巡査)로 개칭.
-
1907.8.20
간도(間島) 용정(龍井)에 통감부출장소 개설(8.24. 청국, 철수 요구, 1909.11.11. 폐쇄).
-
1907.8.20
통감부 간도 파출소 설립
중국
-
1907.8.23
간도 일본 총영사관 설립
중국
-
1907.8.23
도문 일본 헌병 분대 설치
중국
-
1907.9
서전 서숙
중국
-
1907.9.2
한인합성협회 결성
북미
-
1907.9.3
이강년(李康秊) 의병 600여명, 문경(聞慶)을 습격하여 일인 가옥을 불지르고 상주(尙州)의 전선 절단.
-
1907.9.11
고광순(高光洵), 담양 운장산(雲長山)에서 거의.
-
1907.9.20
김상만(金相萬), 《독습일어정칙 獨習日語正則》 발행.
-
1907.9.30
『자신보』 창간
북미
-
1907.10
한명 의숙 설립
중국
-
1907.10.3
『대동공보』 창간
북미
-
1907.10.3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 샌프란시스코에서 주간 《대동공보 大同公報》 창간(1909.1.23. 경영난으로 폐간). 광학서포에서 《귀(鬼)의 성(聲)》 상편 발행.
-
1907.10.7
한국주차헌병(韓國駐箚憲兵)에 관한 건 공포(헌병치안유지에 관한 경찰권을 강화하고, 통감이 배치를 결정하며 병력을 1,000명으로 증가).
-
1907.10.22
『한인합성신보』 창간
북미
-
1907.10.26
동양척식(株) 설립의 기본계획 완성.
-
1907.10.29
재한국일본신민(在韓國日本臣民)에 대한 경찰사무집행에 관한 협정 체결(재한 일경들을 한국경찰에 임명).
-
1907.11
하. 재정고문(財政顧問) 메가타 쇼타로우(目賀田種太郞)의 강압으로 일본흥업은행(日本興業銀行)으로부터 다시 2000만원을 차관.
-
1907.11
시애틀 동맹신흥회 결성
북미
-
1907.11
장춘역 이전
중국
-
1907.11
장춘역 장춘정차장/두도구역
중국
-
1907.11
장춘역 준공
중국
-
1907.11
홍범도 산포대를 조직, 의병 활동 전개
중국
-
1907.11.5
각 외국어학교(外國語學校)(日·英·佛·韓·獨)를 동일구내(同一構內)로 집결(1909.12.20. 관립한성외국어학교로 완전통합).
-
1907.11.16
갑산인(甲山人) 차도선(車道善) 등, 북청(北靑) 일진회원을 살해(함경도 의병의 시작).
-
1907.11.24
홍범도, 일본 군장 미야베의 1개 중대섬멸
중국
-
1907.12.1
군부, 기마대 1개중대 설치 예정 발표.
-
1907.12.18
재무감독국(財務監督局)·학부(學部)·농상공부관제(農商工部官制) 공포(1908.1.1. 시행).
-
1907.12.24
이승훈(李昇薰), 정주(定州)에 오산학교(五山學校)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