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1946년 8월 15일 |
---|---|
성격 | 신문 |
관련 인물 | 김천해|김두용|김계담 |
발행인 | 김계담 |
총호수 | 3호 |
1946년 일본 도쿄도에서 재일 한인이 발행한 한글 신문.
『우리신문』은 정가가 50전이었고, 한 달 정기 구독료는 3엔이었다. 5일에 한 번씩 간행되었다.
『우리신문』의 대표는 민중신문사 대표였던 김천해(金天海)가 맡았으며, 주필은 재일본조선인연맹 중앙위원 및 일본 공산당 조선인부 부장인 김두용(金斗鎔), 편집 겸 발행인은 김계담(金桂淡)이었다. 1946년 9월 1일 『우리신문』은 창간 3호부터 『해방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어 간행하였다. 1949년 9월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명령으로 재일본조선인연맹이 해산되면서 『해방신문』도 1950년 8월 2일자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해방신문』은 1952년 5월 20일에 복간하여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민전]에서 1955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결성으로의 노선 전환을 뒷받침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결성 후 1957년 1월 1일부터 제호를 『조선민보』로 바꾸고, 1961년 1월 1일부터는 현재의 『조선신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