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ental Poetry』

원어 항목명 Oriental Poetry
영문 Oriental Poetr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98년
저자 몰년 시기/일시 1972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29년
원어 항목명 Oriental Poetry
성격 시선집
작가 강용흘
정의

1929년 미국 이민 1세대 시인이자 소설가인 강용흘이 중국, 한국, 일본의 시를 영역한 시선집.

구성

『Oriental Poetry[동양의 시]』는 중국, 한국, 일본 시의 순서대로 각각 69수, 51수, 27수가 소개되어 있다. 강용흘(姜鏞訖)[1898~1972]은 함경남도 태생이다. 서울의 오성중학교, 함흥의 영생중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21년 도미하여 1923~1925년 보스턴대학교에서 의학을, 1925~192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였다. 1928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 일을 맡아 아시아와 관련된 글을 쓰다가 1929년 뉴욕대학교에서 비교문학 강의를 시작하였다. 대표작으로 『초당[The Grass Roof]』, 『The Happy Grove[행복한 숲]』, 『동양선비 서양에 가시다[East goes West]』 등의 소설이 있다.

내용

중국 시는 『시경(詩經)』을 비롯하여 이백(李白)[701~762], 두보(杜甫)[712~770], 백거이(白居易)[772~846], 왕유(王維) 등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일본 시는 이미 국민문학으로 자리 잡았던 와카[和歌]를 번역하였다. 한국 시는 고시조 33수, 민요 1수, 강용흘의 자작시 5수, 한용운(韓龍雲)[1879~1944]의 시 12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조는 전통시를, 한용운의 작품은 현대시를 대표하는 것으로 수록하였으며 번역한 편수로 보았을 때 강용흘이 한국을 대표하는 시로 시조를 생각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시조는 대부분 무명씨의 작품이지만, 월산대군(月山大君)[1454~1488], 계랑(桂娘)[1573~1610], 이정보(李鼎輔)[1693~1766], 이명한(李明漢)[1595~1645], 윤선도(尹善道)[1587~1671], 정철(鄭澈)[1536~1593]의 시조 작품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특징

뉴욕대학교 비교문학과 강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30년 프랜시스 킬리(Frances Keeley)와 함께 수정 작업을 거쳐 ‘Anthology of Chinese, Japanese and Korean Poetry’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고자 하였으나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시조를 노랫말이 아니라 ‘시[poem]’로 소개함으로써 시조를 근대적 개념의 문학으로 배치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riental Poetry』를 통해 당대 비교문학 연구가들에게 시조를 문학작품으로, 또는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게 하였다. 이후 소설 『초당』, 『The Happy Grove』와 시선집 『진달래 숲[Grove of Azaleas]』에 재수록되면서 시조가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 강혜정, 「강용흘 영역 시조의 특성-최초의 영역시조선집 Translatios of Oriental Poetry를 중심으로」(『민족문화연구』5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