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한인의 신종교

분야 종교/신종교 및 기타 종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브라질  파라과이  페루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우루과이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주소 Brasil|Paraguay|Perú|Argentina|Bolivia|Chile|Colombia|Ecuador|Uruguay
영문 주소 Brazil|Paraguay|Peru|Argentina|Bolivia|Chile|Colombia|Ecuador|Uruguay
정의

중남미 한인 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근현대에 형성된 종교.

개설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한인 동포 사회는 개신교의 비율이 높으며, 그 외 가톨릭, 불교 신자가 많다. 신종교는 주로 개신교에서 분파된 이단 종교들로 한인 사회에 유입되어 등장하였다.

포교 활동

중남미에서 한인들이 믿고 있는 대표적인 신종교로는 신천지, 통일교, 기쁜소식선교회 등이 있다, 이들은 한인들뿐 아니라 중남미 지역 학생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해외 봉사단을 창립하거나, 한류 문화를 이용해 여러 가지 문화 행사를 열어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독거노인, 소외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하며, 원주민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전도를 한다.

기쁜소식선교회[대표 박옥수, 기소선]는 브라질 3개, 파라과이 1개, 페루 3개, 아르헨티나 1개, 볼리비아 1개, 칠레 1개, 콜롬비아 2개, 에콰도르 1개, 우루과이 1개 등 남미 지역에 14개 교회를 세우고 포교 활동을 하고 있다. 안식교의 영향을 받아 설립된 하나님의교회[총회장 김주철]는 1998년 페루 하나님 교회를 시작으로, 쿠바, 브라질, 아르헨티나에 교회를 세워 활동 중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남미 지역 주민에게 접근하고 있는 하나님의교회는 대학생 봉사단 아세즈(ASEZ)를 앞세워 봉사하며 포교 행위를 하고 있다. 또한 남미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한국 신종교인 통일교 교주는 1995년에 중남미 17개국을 방문했으며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등 4개국에 교리를 설파하였다.

국가별 신종교

브라질에는 원불교당이 있다. 브라질 상파울루교당은 원기 91년 추도엽 교무가 발령을 받으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처음 한인들의 상업지구인 봉헤치루 상가 건물 2층에 요가·명상 교실을 열고, 교민 사회에 원불교를 알리는 데 요가와 명상을 이용하였다. 원불교의 성직자인 교무는 브라질 내 법인이 없어 관광 비자를 받아 교화를 모색하였다.

또한 브라질에 등장해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친 신종교로는 돌나라한농복구회가 있다. 한국에서는 십계석국총회[구 엘리야복음선교원]라고 알려져 있으며 교리의 반사회성 등으로 이단으로 분류되었다. 돌나라한농복구회는 한국에서 문제가 되자 1,000여 명의 신도들과 브라질로 옮겨 가 자리를 잡았다. 2022년 4월 공동체 생활을 하던 한인 아동 5명이 사망한 사건이 묻힐 뻔하였으나, 한국에서 브라질로 건너간 이들의 행방을 추적하던 MBC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PD수첩」을 통해 이 종교의 행태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쿠바의 경우, 멕시코에서 쿠바로 이주한 한인 교포 임천택이 1930년 마탄사스주 카르데나스 지역에서 교리 사업과 민족혼 심기를 위해 천도교 종리원을 열었다. 임천택은 1927년 개벽사(開闢社)에서 활동하던 이두성의 영향을 받아 1928년 4월 1일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임천택은 가족 모두 교인으로 포교하고, 1933년에는 천도교 청년당 당원으로 입당하였다. 쿠바 종리원의 경우 한인들이 쿠바에 정착하고 대한민국 독립운동을 위한 자금을 모금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 성주현, 「쿠바한인사회를 통해본 천도교와 민족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9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6. 30.)
  • 「브라질 상파울루교당 봉불」(『원불교신문』, 2013. 10. 25.)
  • 「남미의 이단 현황」(『현대종교』, 2021. 4. 19.)
  • 「브라질로 간 한국 사이비종교? “아이들 보고 취재 결심”」(『오미아스타』, 2022. 9. 12.)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