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멕시코 |
| 시대 | 현대/현대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2004년 |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5년 |
| 원어 주소 | México |
| 영문 주소 | Mexico |
| 성격 | 희곡|모노드라마 |
| 작가(원작자) | 임용위 |
| 감독(연출자) | 김성노 |
| 출연자 | 임용위 |
| 주요 등장 인물 | 구노 오크만 |
멕시코 한인을 주제로 한 임용위 원작의 모노드라마.
멕시코 한인 이민 후손이 정체성을 찾는 과정을 그린 「굿나잇 코리아」는 멕시코에서 활동하는 극작가 임용위의 작품이다. 임용위는 1999년 실험극장 창립 40주년 기념 공연작인 「무화과꽃」[연출 김성노]으로 희곡 문단에 데뷔하였다.
「굿나잇 코리아」는 2004년 멕시코 한인 이민 100주년 기념 공연으로 다섯 차례 무대에 올려졌다. 임용위가 배우로 출연하기도 하였다. 2005년에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공식 후원을 받아 멕시코 한인 이민 100주년 기념행사의 공식 공연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극단 실험극장[대표 이한승]은 멕시코 한인 이민 100주년 기념으로 멕시코시티와 메리다(Mérida), 푸에블라(Puebla) 등지에서 김성노 연출로 이 작품을 순회 공연하였다.
「굿나잇 코리아」는 멕시코 한인 4세대인 구노 오크만을 통해 한인 후손들의 정체성 추구 과정을 보여 주는 모노드라마이다.
주인공 ‘구노 오크만’은 ‘억만’이라는 한국 이름이 멕시코에서 성으로 바뀐 인물이다. 주인공 오크만은 자신의 뿌리도 모르고 살아왔지만, 임종을 앞둔 어머니에게서 자신이 멕시코인이 아니라 한인인 ‘코레아노(Coreano)’라는 말을 듣고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킨다. 오크만은 자신이 1905년(고종 42) 멕시코 유카탄으로 노동 이민을 온 한인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한국어를 배우면서 점차 새로운 정체성을 찾게 된다. 한국 여자와 사랑을 하고,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한국인으로 살아갈 꿈을 꾼다. 하지만 젊은 시절에 저지른 과오로 한국 국적을 얻지 못한다. 아내마저 자신을 떠나면서 오크만은 좌절에 빠지게 된다.
「굿나잇 코리아」는 작품 속 주인공인 한인 이민 후손 오크만의 인생 행로를 통해 고국을 떠나 지구촌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재외동포들의 가슴속에 조국이 어떻게 뿌리 내리는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한 편의 드라마를 통해 멕시코 한인 이민사의 비애를 이해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