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은조

한자 林殷祖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쿠바 아바나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6년 9월 30일
수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몰년 시기/일시 2006년 1월 19일
출생지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활동지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활동지 쿠바 아바나시
묘소 쿠바
원어 주소 Matanzas, Provincia de Matanzas, Cuba|La Habana, Cuba
성격 정치인
성별
대표 경력 쿠바 산업식량부 차관보
정의

1926년 9월 30일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에서 태어나 쿠바혁명 후 산업식량부 차관보를 역임한 한인 2세.

개설

임은조(林殷祖)[1926~2006]는 아바나대학교 법과를 다녔다. 쿠바혁명을 지원하였고, 혁명이 성공한 후에는 쿠바 산업식량부 차관보를 역임하였다. 은퇴 이후 쿠바 한인들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념하는 사업을 하였다. 쿠바 이름은 헤로니모 임 김(Jeronimo Lim Kim)이다.

가계

아버지는 임천택(林千澤)이고 어머니는 김귀희(金貴姬)이다. 남동생으로 임은성, 임은수, 임은석, 임은호가 있고, 여동생으로 임은주, 임은희, 임은화, 임은엽이 있다.

활동 사항

임은조는 1926년 9월 30일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에서 태어났다. 1934년 마탄사스 민성국어학교 을반에서 한글을 수학하였고,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학생부에서 활동하였다. 1936년 민성국어학교 갑반(甲班) 1등으로 뽑혀 상을 받았고, 1937년 6월 방학 시험식에서 상반(上班) 1등 우등상을 받았다. 1938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에 참여하여, 에스테반 안(Esteban Ahn)·홀리안 김과 함께 마탄사스 중국인 회관에서 중국인들에게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고 한다.

임은조는 1941년 9월 16일 관립 중학교에 입학하였다. 1943년 5월 20일 쿠바 독립 제41주년 기념식에 아버지 임천택과 함께 마탄사스 지역 대표로 참가하였다. 1944년 1월 13일 당시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었고, 1944년 12월에는 중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1944년 공제회 청년부에 입회하였으며, 1945년에 청년부 서기, 1946년에 청년부 회장에 선출되었다. 1946년 가을 아바나대학교에 입학하여 1948년까지 법과를 다니다가 4년간 휴학하였다.

임은조는 에두아르도 치바스(Eduardo R. Chibas)를 존경하여 쿠바인민당[Pueblo Cubano, Ortodoxox]에 참여하였다. 마탄사스에서 풀헨시오 바티스타 이 살디바르(Fulgencio Batista y Zaldivar) 독재 정권에 저항하였고, 시위를 적극 주도하여 경찰에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다. 피델 카르트로(Fidel Alejandro Castro Ruz)가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서 활동할 때 임은조는 비밀 조직에서 활동하였고, 노동자연맹[Workers Union]에 참여하여 바티스타 정권의 쿠바 청년들에 대한 고문과 살인에 대항하여 혁명적인 정의[Revolutionary Justice]를 실현하기 위한 시위에 참여하였다. 1954년 아바나대학교 법대에서 학업을 계속하였다. 임은조는 1959년 쿠바혁명 후 경찰청 인사와 법무 담당관을 지냈다. 1963년 산업식량부 차관보를 지냈고 9개의 훈장을 받았다.

산업식량부를 퇴직한 임은조아바나 인근 소도시 키테라스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하였다. 이후 쿠바의 한인 후손들을 모아 한인회를 조직하고 한글과 한국 문화도 가르쳤다. 1995년 세계한민족축전에 초청되어 한국을 처음 방문하고, 쿠바 한인 후손들의 조직을 재건하면서 쿠바 각지의 한인 후손을 찾아 다녔다. 2001년 임은조쿠바 한인후손회 초대 회장으로 한인들이 쿠바에 첫발을 디딘 마나티항쿠바한인이민80주년기념탑을 세우는 데 앞장섰다. 2003년 10월 재외동포재단이 동포를 위해 헌신한 인물로 초청하여 한국을 방문하였다. 2005년에는 마탄사스 엘 볼로 농장 입구에 세운 엘 볼로 한인 이주 기념비를 설계하였다. 2006년 1월 19일 사망하였다.

묘소

임은조는 사후 쿠바 유공자들이 묻히는 쿠바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2019년 재미 교포 영화감독인 전후석이 임은조의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헤로니모」를 제작하였다.

참고문헌
  • 임천택, 『쿠바 이민사』(태평양주보사, 1954)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4(국가보훈처·독립기념관, 2004)
  • 전후석, 『당신의 수식어』(창비교육, 2021)
  • 「임은조의 돌잔치 성황」(『신한민보』, 1927. 10. 13.)
  • 「민성국어학교 시험식」(『신한민보』, 1934. 7. 5.)
  • 「마탄사스지방회」(『신한민보』, 1934. 12. 20.|1944. 1. 13.)
  • 「민성국어학교 방학시험」(『신한민보』, 1937. 6. 24.)
  • 「임은조군은 관립중학교에 입학」(『신한민보』, 1941. 11. 6.)
  • 「큐바 독립기념행렬에 재큐한족단체 참가」(『신한민보』, 1943. 6. 10.)
  • 「재큐한족단은 쿠바극경 행렬에 참가」(『신한민보』, 1943. 6. 17.)
  • 「민국 26년도 마탄사스지방회 사업 성적 보고서」(『신한민보』, 1944. 12. 7.)
  • 「아희들과 완구」(『신한민보』, 1946. 7. 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