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경일

한자 方擎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쿠바 마탄사스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905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09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3월
추모 시기/일시 2021년
출생지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멕시코 유카탄주
거주|이주지 쿠바 마탄사스주
활동지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활동지 쿠바 마탄사스주
원어 주소 Yucatán, México|Provincia de Matanzas, Cuba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집행위원
정의

1905년 5월 멕시코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등에서 활동하다 쿠바로 재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집행위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방경일(方擎日)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7~1918년 안창호가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에 왔을 때 도와주었다. 쿠바로 재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가계

부인은 김엘니야이다.

활동 사항

방경일은 1861년(철종 12)경 서울에서 태어났다. 1905년(고종 42) 5월 멕시코 유카탄주로 이민을 가서 에네켄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1908년(순종 2) 80~100페소의 속전을 내고 에네켄 농장에서 해방되었다. 1909년(순종 3) 5월 9일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 지역 한인들이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를 설립할 때 방경일은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방경일메리다에서 베라크루스주 헤수스 카란사 와하케뇨로 이주하였고, 1911년 12월 17일 와하케뇨 한인들이 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를 신설할 때 학무원에 임명되었다.

와하케뇨에서 유카탄주 메리다로 돌아온 방경일은 1915년 5월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의 서기 겸 구제원으로 임명되었고, 1917년 대의원, 1918년 평의원에 선임되었다. 1917년 1월 방경일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서 운영하는 해동학교(海東學校)의 감독이 되어 한인 2세 교육을 맡았다. 1917~1918년 안창호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관에서 머물 당시 방경일 부부가 안창호를 도왔다.

방경일은 1921년 3월 쿠바 마탄사스주로 이주하였고, 다음 해인 1922년 10월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학무원으로 임명되었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의 서기로 활동하였고, 1937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또 1928~1930년까지 마탄사스의 민성국어학교 교사로서 한인 2세에게 민족 교육을 시켰다.

방경일은 1917년 이후 대한인국민회 의무금, 인구세, 3.1적립금, 특별외교 의연금, 광주학생운동 동정금 등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상훈과 추모

2021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방경일의 공적을 기리어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방경일 재묵동포인구등록」(『미주 국민회 자료집』제5권,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김도형, 「멕시코 지역 대한인국민회의 조직과 활동」(『국사관논총』107, 국사편찬위원회, 2005)
  • 「피선(被選)한 임원(任員)은 여좌(如左)」(『신한민보』, 1909. 5. 26.)
  • 「오학기나지방회 현 임원」(『신한민보』, 1913. 6. 23.)
  • 「메리다지방회보」(『신한민보』, 1915. 5. 20.)
  • 「멕시코지방회」(『신한민보』, 1919. 9. 4.)
  • 「마탄사스지방회」(『신한민보』, 1922. 10. 19.|1931. 12. 3.|1932. 1. 28.)
  • 「카르데나스지방회」(『신한민보』, 1937. 1. 21.)
  • 「쿠바 재류동포의 이주 20년 역사」(『신한민보』, 1941. 4. 17.)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