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朴斗鉉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쿠바 마탄사스주 쿠바 아바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출생 시기/일시 | 1869년경 |
|---|---|
| 활동 시기/일시 | 1905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3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5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2월 |
| 추모 시기/일시 | 2018년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
| 거주|이주지 | 멕시코 유카탄주 |
| 거주|이주지 | 쿠바 마탄사스주 |
| 활동지 |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
| 활동지 | 쿠바 마탄사스주 |
| 활동지 | 쿠바 아바나주 |
| 원어 주소 | Mérida, Yucatán, México|Provincia de Matanzas, Cuba|La Habana, Cuba |
| 성격 | 독립운동가 |
| 성별 | 남 |
| 대표 경력 |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회장|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 |
1905년 5월 멕시코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서 활동하다 쿠바로 재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회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박두현(朴斗鉉)은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회장,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박두현(朴斗賢) 혹은 박두현(朴斗顯)으로도 썼으며, 알베르토 팩(Alberto Pack), 알베도 팍(Albedo Pak), 알베르토 팩 붕(Alberto Pack bhung)으로도 불렀다.
부인은 이국사(李國史)이고, 아들은 박영록(朴泳祿), 박영창(朴泳昌)이다.
박두현은 1869년(고종 6)경 서울 신촌[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에서 태어났다. 1905년(고종 42) 5월 멕시코 유카탄주로 이민을 가서 에네켄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 회원으로 가입하였고, 1909년(순종 3) 회관 유지비로 50전을 냈다. 1912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16년 유카탄 진성학교 수전위원이 되었고, 1917년 7월 진성학교 교장에 보임되었다. 1918년 7월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데스카갈데루경찰소 경찰원으로 임명되었으나 곧 사임하였다.
1921년 3월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로 재이주하였고, 1923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학무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마탄사스주 카르데나스로 거처를 옮겨 1924년 5월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서기로 선임되었다. 1925년 2월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부회장으로 선출되었고, 1926년에는 회장으로 선출되어 각종 기념행사를 주관하였다. 1927년 마탄사스로 돌아와 1928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재무로 선임되었다. 1929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2년에는 평의원회 회장을 맡았다.
1935년 마탄사스 민성국어학교 교장을 맡았고, 1936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37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집행위원장에 선출되었고, 청년부 훈련부장에 선임되었다. 1938년 2월 민성국어학교 교장을 맡았고, 교육부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40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총무로 선출되었다. 박두현은 쿠바의 아바나로 거처를 옮겨, 1943년 4월 4일 설립된 재큐한족단의 국문 부서기를 맡았다. 1945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박두현은 1909년부터 1940년까지 의무금, 인구세, 3.1기념금, 국민 부담금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후원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박두현의 공적을 기리어 2018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