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일

한자 金致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멕시코 타바스코주  쿠바 마탄사스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905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23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26년 11월 2일
몰년 시기/일시 1926년 12월 3일
추모 시기/일시 2015년
출생지 대구광역시
거주|이주지 멕시코 유카탄주
거주|이주지 쿠바 마탄사스주
활동지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활동지 멕시코 타바스코주
활동지 쿠바 마탄사스주
원어 주소 Mérida, Yucatán, México|Tabasco, México|Provincia de Matanzas, Cuba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
정의

1905년 5월 멕시코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서 활동하다 쿠바로 재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김치일(金致日)[1878~1926]은 1920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구제원, 1923년과 1925년도 쿠바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부터 1926년까지 의무금, 보조금, 인구세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김치일(金致一) 혹은 김치일(金治一)로도 썼으며, 스페인어 이름은 마누엘 김(Manuel Kim)이다.

가계

아들은 김승복, 김덕복이다.

활동 사항

김치일은 1878년(고종 15)경 경상북도 대구[현 대구광역시 지역]에서 태어났다. 1905년(고종 42) 5월 멕시코 유카탄주로 노동 이민을 갔다. 1909년(순종 3)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 입회하여 활동하다가 1911년 1월 타바스코주(Tabasco州)로 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신한동지방회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유카탄으로 다시 돌아왔고, 1917년 4월경 이친캅(Itzincab)의 진성학교에 의연금 5원을 냈다. 1918년 11월 의무금 2월 50전을 냈다. 3·1운동이 일어난 이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에서는 독립운동을 위해 김치일을 상치위원으로 선정하였다. 1919년 11월 김치일은 적십자회에 입회하여 입회금 2달러를 냈고, 1920년 3월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구제원에 보임되었다.

1921년 3월 김치일은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로 이주하였으며, 1922년 11월 의무금 5원을 냈다. 1923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당시 쿠바 한인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었는데,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에서 구제금 324원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 김치일에게 보냈다. 1923년 김치일 회장으로서 지방의 분쟁을 통일적으로 해결하고, 국민회 의무를 실행하게 독려하였으며, 한인 2세 교육을 위하여 국어학교를 제1·2교로 나누어 교수하게 하며, 내지의 구제금 모집에 열성을 다하였다. 또한 김치일은 식물상점을 경영하면서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으로서 1923년 국민회 창립식과 3.1기념 경축식 등을 주관하였다. 같은 해 국민대표회 대표 경비 1원을 냈고, 의무금 10원을 냈다.

1923년 6월 14일 김치일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창립 3주년 기념식에서 취지를 설명하였고, 10월 10일 중국인 혁명 기념식에 참여하여 한·중 우의를 돈독하게 하였다. 1924년 2.1국민회 창립식에서 국민회 역사에 대해 진술하였고, 3.1절 경축식에서는 대표 예사를 하였다. 1924년 마탄사스 한인들이 노동을 하는 독일 회사의 파업으로 생활이 어렵게 되자, 김치일이 동포들의 식량을 공급해 주었다. 1924년 9월 10일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관을 건축하기 위한 건축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25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회장으로 다시 선출되었고, 국민회 창립 기념식과 3.1절 경축식을 주관하였다.

마탄사스의 식물상점을 판매하고 마탄사스주 카르데나스로 거처를 옮긴 김치일은 그곳에서 다시 식물상점을 열었다. 1926년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학무원에 선임이 되었고, 3. 1절 경축식에서 독립 축사를 하였고, 국치 기념일에는 우리의 역사를 진술하였다. 1926년 11월 2일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통상회의에서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그해 12월 3일 신병으로 사망하였다. 김치일은 1918년부터 1926년까지 의무금, 보조금, 인구세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5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김치일의 공적을 기리어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미주 국민회 자료집』제1권(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미주 국민회 자료집』제3권(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미주 국민회 자료집』제9권(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호세 산체스, 『회상』-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한인들의 삶과 노동(재외동포재단, 서성철 옮김, 2005)
  • 「신한동지방회」(『신한민보』, 1911. 3. 8.)
  • 「유카탄 진성학교 의연록」(『신한민보』, 1917. 4. 19.)
  • 「국민의무금」(『신한민보』, 1918. 11. 14.)
  • 「메리다지방회」(『신한민보』, 1919. 5. 3.|1920. 3. 12.|1922. 2. 15.)
  • 「적십자회 입회 청원서」(『신한민보』, 1919. 11. 25.)
  • 「사망」(『신한민보』, 1922. 10. 19.)
  • 「의무금」(『신한민보』, 1922. 11. 16.)
  • 「정오」(『신한민보』, 1922. 11. 16.)
  • 「큐바지방회보」(『신한민보』, 1922. 11. 30.|1922. 12. 14.)
  • 「공문 제16호」(『신한민보』, 1923. 1. 18.)
  • 「마탄사스지방회보」(『신한민보』, 1923. 2. 15.)
  • 「김치일씨의 회무 열성」(『신한민보』, 1923. 2. 22.)
  • 「김치일씨의 공익 열성」(『신한민보』, 1923. 4. 26.)
  • 「큐바 동포들의 사업 흥왕」(『신한민보』, 1923. 4. 26.)
  • 「큐바 김승복 소학생 졸업」(『신한민보』, 1923. 5. 24.)
  • 「국민대표회 대표 경비」(『신한민보』, 1923. 6. 7.)
  • 「의무금」(『신한민보』, 1923. 6. 21.)
  • 「마탄사스지방회 창립기념」(『신한민보』, 1923. 7. 5.)
  • 「큐바 동포의 과거와 현재에 정형」(『신한민보』, 1923. 7. 12.)
  • 「큐바 국어학교의 방학식」(『신한민보』, 1923. 7. 19.)
  • 「마탄사스지방회」(『신한민보』, 1923. 9. 13.|1923. 12. 27.)
  • 「큐바 중국인의 혁명 기념」(『신한민보』, 1923. 10. 25.)
  • 「마탄사스지방회 임원 취임식」(『신한민보』, 1923. 12. 13.)
  • 「마탄사스지방회에서 기념 경축」(『신한민보』, 1924. 2. 21.)
  • 「마탄사스에 3.1절 150여명 참석」(『신한민보』, 1924. 3. 20.)
  • 「큐바 동포의 파공 손해 2천여원 김치일씨가 식물을 담당한다」(『신한민보』, 1924. 6. 12.)
  • 「큐바지방회관 건축」(『신한민보』, 1924. 10. 2.)
  • 「큐바지방회 신구임원 체임식」(『신한민보』, 1925. 1. 1.)
  • 「김치일씨는 카르데나스로 이거」(『신한민보』, 1925. 6. 4.)
  • 「김치일씨의 새 사업」(『신한민보』, 1925. 7. 16.)
  • 「카르데나스지방회」(『신한민보』, 1925. 12. 24.|1926. 10. 28.|1926. 11. 4.|1926. 12. 16.)
  • 「카르데나스 3.1경축식」(『신한민보』, 1926. 3. 18.)
  • 「국치기념과 애국성」(『신한민보』, 1926. 9. 16.)
  • 「카르데나스지방회장 김씨 별세」(『신한민보』, 1926. 12. 16.)
  • 「학무원 김치일씨 장례」(『신한민보』, 1927. 1. 27.)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