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학

한자 徐丙學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쿠바 라스투나스주 마나티  쿠바 아바나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905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13년 6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 3월
추모 시기/일시 2021년
출생지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멕시코 유카탄주
활동지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활동지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활동지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활동지 쿠바 라스투나스주 마나티
활동지 쿠바 아바나
원어 주소 Mérida, Yucatán, México|Veracruz, México|Matanzas, Provincia de Matanzas, Cuba|Manati, Provincia de Las Tunas, Cuba|La Habana, Cuba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서기
정의

1905년 5월 멕시코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 쿠바의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서병학(徐丙學)은 1911년 멕시코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사찰, 1913년부터 1917년까지 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 학무원과 실업부원, 1922년부터 1926년까지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서기, 1937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및 선전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3년부터 1944년까지 의무금, 인구세, 국민 부담금, 광복군 후원금, 독립금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서병학(徐炳學)으로도 쓰며, 미구엘 소(Miguel Soh)라고도 불렀다.

가계

부인은 김마리안나이다.

활동 사항

서병학은 1885년(고종 22)경 서울 중서(中署) 교동(校洞)에서 태어났다. 1905년(고종 42) 5월 멕시코 유카탄주로 이민을 가서 에네켄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멕시코의 베라크루스주 헤수스 카란사 와하케뇨로 이주한 서병학은 1912년 1월 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에 입회하였고, 1913년 6월 서기 겸 학무원에 선출되었다. 1913년 8월 와하케뇨 일신국어학교의 재력이 부족하여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 찬조를 요청하였으나 같은 해 1월에 일어난 사고로 인하여 서기 겸 학무원을 사임하였다. 1915년 9월 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 코앗사코알코스경찰소의 서기로 임명되었고, 10월에 부회장의 임무를 겸임하였다. 1916년 대한인국민회 오학기나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2일 실업부원에 선정되었다.

와하케뇨에서 유카탄주 메리다로 이주한 서병학은 1917년 8월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호보야경찰소의 서기가 되었다. 다시 베라크루스주의 산타페로 이주한 서병학은 1920년 대한인국민회 산타페지방회 학무원이 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서기가 되었다.

서병학은 1921년 3월 쿠바의 라스투나스주 마나티로 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마나티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었다. 이후 마탄사스주 마탄사스로 건너간 서병학은 1922년 3월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서기로 보결되었다. 1922년 11월 마탄사스에서 민성국어학교가 설립되었을 때 교사를 맡아 한인 2세들을 위한 국어 교육에 열성을 다하였다.

1924년 4월 서병학은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이문회(以文會)’를 발기하였고, 그해 9월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관 건축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25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서기 겸 실업부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2월 설립위원을 맡았다. 1925년 11월 ‘박은식 선생 추도식’에서 ‘민족의 자유 위하시다가’라는 제목으로 연설을 하였다. 1926년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서기 겸 구제원에 선출되었다. 1935년 쿠바 아바나에서 개최된 만국신문기자단에 입회하여 한국 사정을 선전하였다.

1937년 1월 17일 서병학은 미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에 아바나 지방회 설립을 청원하였고,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가 설립되자 서기로 선출되었다. 1937년 4월 아바나 한인 2세들의 국어 교육을 위하여 흥민국어학교를 설립하고 교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6월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에 설치된 청년부의 학무로 선임되었다. 1938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겸 선전위원, 청년부 서기 겸 교육위원, 흥민국어학교 교사, 국민부담금 수전위원, 3.1기념 경축식 준비위원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938년 8월 7일 대한여자애국단 아바나지부가 설치되자 서병학이 협찬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9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겸 선전위원으로 선임되었고, 대한여자애국단 아바나지부 협찬위원을 맡았다. 1939년 5월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는 한중합작연맹회를 조직하고 찬동원을 발기, 모집하여 배일사상을 선전하였다. 1940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겸 선전위원으로 선임되었고, 대한여자애국단 아바나지부 협찬위원을 맡았다.

1941년 서병학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었고, 3.1절 경축식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광복군 성립 보고, 만세삼창 등을 하였다. 1941년 4월 25일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에서는 서병학의 주선으로 연합빅토리대회에 참가하여 조국의 광복 대의를 선전하는 외교 성과를 거두었다. 같은 해 8월 14일에는 중국항공연합회에 참가하여 한·중 양 민족의 합작에 노력하였다. 1942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겸 교육위원으로 선출되었고, 6월 5~17일까지 개최된 빅토리아연합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을 의안으로 제출하였다. 1943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서기 겸 교육위원에 재임되었였고, 그해 4월 조직된 재큐한족단의 국문 정서기에 임명되었다. 1944년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45년 국한문 서기 겸 교육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4월 18일 재큐한족단 성립 기념식에 대한인국민회 아바나지방회 대표로 참석하였고, 같은 해 8월 5일 재큐한족단 한글 서기로 임명되었다.

서병학은 1913년부터 1941년까지 의무금, 인구세, 국민 부담금, 광복군 후원금, 독립금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상훈과 추모

2021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서병학의 공적을 기리어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묵서가국 유가단도 미리다지방회원명록(墨西哥國 有佳團道 美利多地方會員名錄)(1909. 5. 9. 설립)」(『미주 국민회 자료집』제1권,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묵국 오악기나지방회(1912. 1. 1. 설립)」(『미주 국민회 자료집』제1권,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대한인국민회 임원록-미리다지방회(1911)」(『미주 국민회 자료집』제4권,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김도형, 「멕시코 지역 대한인국민회의 조직과 활동」(『국사관논총』107, 국사편찬위원회, 2005)
  • 「오학기나지방회 현임 임원」(『신한민보』, 1913. 6. 23.)
  • 「서씨 내함」(『신한민보』, 1913. 8. 8.)
  • 「오학기나지방회보」(『신한민보』, 1913. 10. 10.|1915. 10. 28.|1915. 11. 11.)
  • 「오학기나지방회」(『신한민보』, 1916. 7. 6.)
  • 「메리다지방회」(『신한민보』, 1917. 8. 30.)
  • 「회보」(『신한민보』, 1920. 6. 15.)
  • 「신타페지방회」(『신한민보』, 1920. 7. 29.)
  • 「마탄사스지방회」(『신한민보』, 1922. 3. 23.|1924. 3. 20.|1924. 9. 25.|1924. 11. 27.|1925. 2. 19.|1926. 1. 7.|1926. 3. 4.|1945. 8. 23.)
  • 「쿠바지방회」(『신한민보』, 1922. 11. 30.)
  • 「쿠바 민성국어학교 개학식」(『신한민보』, 1923. 10. 4.)
  • 「이문회 발기문」(『신한민보』, 1924. 4. 24.)
  • 「고 박은식 선생을 추도, 마탄사스지방회에서 거행」(『신한민보』, 1925. 12. 10.)
  • 「하바나신문기자단에 한인 참가」(『신한민보』, 1935. 12. 19.)
  • 「쿠바국 하바나에 국민회지방회를 설립」(『신한민보』, 1937. 2. 11.)
  • 「하바나국어학교 설립」(『신한민보』, 1937. 4. 1.)
  • 「하바나 청년부 설립」(『신한민보』, 1937. 7. 1.)
  • 「아바나지방회 임원」(『신한민보』, 1938. 2. 17.)
  • 「3씨의 동포 심방」(『신한민보』, 1938. 4. 7.)
  • 「하바나지방에 여자애국단 지부 조직」(『신한민보』, 1938. 9. 1.)
  • 「대한여자애국단 하바나지부」(『신한민보』, 1938. 12. 28.|1938. 12. 29.)
  • 「아바나지방회」(『신한민보』, 1938. 12. 29.|1939. 5. 18.|1939. 12. 21.|1940. 12. 26.|1942. 1. 1.|1943. 1. 28.|1944. 1. 20.|1944. 12. 7.)
  • 「각 지방회 광복군축하식 거행」(『신한민보』, 1940. 12. 12.)
  • 「광복군 전시 중에 축하는 3.1절」(『신한민보』, 1941. 3. 27.)
  • 「국민회 아바나지방회는 연합빅토리대회에 참가」(『신한민보』, 1941. 5. 28.)
  • 「중국항공연합회에 참가한 3개 지방대표단」(『신한민보』, 1941. 8. 28.)
  • 「각 지방회의 3.1절 경축 전례」(『신한민보』, 1942. 3. 26.)
  • 「아바나지방회는 빅토리아연합회에 참가」(『신한민보』, 1942. 7. 9.)
  • 「아바나지방회의 승전연합회 참가를 인준」(『신한민보』, 1942. 7. 23.)
  • 「각 지방회의 대일선전1주년기념 축하식」(『신한민보』, 1943. 1. 28.)
  • 「재큐한족단 조직과 임원 선정」(『신한민보』, 1943. 5. 13.)
  • 「독립신문사 사우총회 경과 상황」(『독립』, 1945. 1. 24.)
  • 「재큐한족단체대표회」(『신한민보』, 1945. 5. 17.)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