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새마을농장

한자 十字-農場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브라질 고이아스주 포르모자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76년
최초 설립지 브라질 고이아스주 포르모자
원어 주소 Formosa, Estado de Goiás, Brasil
성격 한인 농장
정의

1976년 한국 정부가 브라질 내 한인 불법체류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이아스주 포르모자에 건설한 농장.

개설

1960년대 5차에 걸쳐 송출된 집단 영농 이민자들이 계약 기간을 채우지 않고 인근의 도시로 재이주하자, 브라질 정부가 한국 농업 이민을 더 이상 허가해 주지 않고 전면 금지하였다. 브라질 이민을 준비하던 사람들은 브라질의 이웃 국가인 파라과이와 볼리비아의 이민 비자를 받아 도착했는데, 그들은 짐도 풀지 않은 채 곧바로 국경을 넘어 브라질로 들어가면서 불법체류자가 되었다.

한인 불법체류자들의 존재가 한국과 브라질 양국의 문제로 떠오르자,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제4대 송찬호 대사 재임 시절]은 불법체류자들의 영주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76년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약 80㎞ 떨어진 고이아스주 포르모자의 1,500알켈의 땅을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 명의로 273만 달러에 구입하였다. 그것이 바로 십자새마을농장이었다. 한국 정부의 불법체류자들에 대한 구제 방안[십자새마을농장]은 1960년대 한국 정부가 미화 68만 달러를 투자하여 만든 아르헨티나의 라마르케(La Marque) 농장이나 파라과이의 산페드로(San Pedro) 농장의 경험을 되살린 것이었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1977년 5월 4일 남미로의 이민을 오히려 한국 정부가 금지시켰는데, 이것이 이른바 5·4 조치였다.

건립 경위

한국 정부에서 브라질에 거주하는 한인 불법체류자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십자새마을농장을 설립하였다.

변천

1975년 6월 30일 자 외무부 영사교민국의 자료에 따르면, 브라질에는 십자새마을농장 건설 이전 한인 1,674가구 총 7,815명이 거주하였다. 그중 약 60%에 해당하는 4,500명이 불법체류자였다. 당시 불법체류자들의 수가 정식으로 브라질 비자를 받고 입국한 사람들의 수보다 많았던 것이다. 불법체류자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한 기관은 상파울루시의 한인 교회였다. 특히 이석호 목사가 이끄는 대한성결교회가 보호에 앞장섰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한성결교회의 원현국 장로와 신도들이 십자새마을농장 건설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브라질 정부로부터 “한인 불법체류자들이 이 농장에서 5년 동안 농사를 짓는다면 영주권을 발급해 주겠다”는 합의를 얻어 내었으나, 상파울루시에서 도시 생활을 경험한 그들은 자녀의 교육 문제, 당장 먹고사는 경제 문제, 그리고 신변 안전 문제 등을 들어 농장을 이탈하였다.

한편, 한국 정부가 농장의 건설과 농기계 구입 및 운영 등으로 투자한 자금은 총 366만 달러였다. 그러나 브라질 농지 개혁과 식민청[Instituto Nacional de Colonização e Reforma Agrária, INCRA]이 십자새마을농장의 토지에 대한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의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결국 브라질 정부는 1983년 이 토지를 한국 정부로부터 기증받는 형식을 통해 몰수하였다.

현황

십자새마을농장에 입주했던 약 4,500명의 불법체류자들은 이후 브라질 정부의 1980년 사면령으로 영주권을 획득하였다. 당시 사면 혜택을 받은 총 1만 5351명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여, 한인 불법체류자 문제가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보여 준다. 그러나 이들 불법체류자들은 한인 사회 ‘제품’ 생산의 가장 밑 단계인 봉재에 노동력을 제공하여, 한인 사회가 경제적 터전을 닦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 현규환, 『한국유이민사』하-브라질 편(삼화인쇄(주)출판사, 1976)
  • 원현국, 『대지의 꿈』(예루살렘 출판사, 1988)
  • 전경수, 『브라질의 한국이민』-인류학적 접근(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 오응서, 『아마존의 꿈』-브라질 한국인 이민 40년 회고(남미동아일보사, 2004)
  • 「브라질이민의 현황과 문제」(『교포정책자료』8, 해외교포문제연구소, 1969)
  • 최금좌, 「삼바 춤을 출 수 없었던 재 브라질 한인 교포사회」(『국제지역연구』4-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0)
  • Choi Keum Joa, 「Além do Arco-Íris: A Imigração Coreana no Brasil」(Universidade de So Paulo, 1991. 5.)
  • Choi Keum Joa, 「O papel da Igreja dentro da comunidade coreana no Brasil」(『Revista Eclesiástica Brasileira』V.55, Instituto Teológico Franciscano, Vozes, 1995. 9.)
  • Choi Keum Joa, 「imigração coreana na cidade de São Paulo」(『Revista IEB-Instituo de Estudos Brasileiros』No.40, Universidade de So Paulo, 1996. 3.)
  • 『동아일보』(1976. 10. 27.)
  • 『Korea Herald』(1983. 6. 18.)
  • 「(브라질 한인 이민역사 조명) 한인 불법체류자 사면령-22」(『남미복음신문』 2019. 4. 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