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농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브라질 상파울루주 상파울루시 자구아레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63년
최초 설립지 브라질 상파울루주 상파울루시 자구아레
원어 항목명 Fazenda Arirang
원어 주소 Jaguaré, São Paulo, SP, Brasil
성격 한인 농장
정의

1963년 브라질로 건너간 제1차 한인 영농 이민자들 중 일부가 상파울루시 자구아레구에 설립한 농장.

개설

1962년 5월 브라질 정부가 한국인의 영농 이민을 허가하였다. 이에 한국 정부는 그해 3월 9일 제정, 공포한 법률 제1030호 「해외이주법」을 근거로 제1차 집단 영농 이민 희망자들을 심사하여, 그중 103명에게 해외 이주 허가를 내주었다. 그런데 제1차 집단 영농 이민자들은 성격상 두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한 그룹은 가족과 함께 브라질에 도착한 17가구[고계순, 안계승, 한승일, 윤명섭, 김종혁, 안동협, 김철현, 서재옥, 김덕조, 장만식, 장상기, 유재선, 양승갑, 한용전, 조중한, 김승한, 정명자로 총 92명]였고, 또 다른 그룹은 이민 수속 중인 가족을 한국에 두고 합류한 11명[박선관, 한승엽, 김해곤, 김명익, 권태영, 윤봉선, 이정수, 김종수, 주성철, 김종한, 김상현]이었다. 이 두 그룹은 55일 동안의 선상 생활에서도 화합하지 못하여, 브라질 도착 후 여러 농장으로 분산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963년 2월 12일 브라질에 도착한 제1차 이민단은 상파울루주가 운영하는 브라스 이민수용소에 머물렀는데, 그중 재력이 있던 사람들이 기존의 일본인 농장을 구입하여 설립한 곳이 아리랑 농장이다.

건립 경위

제1차 집단 영농 이민 희망자들은 네덜란드 선박인 치차렌카(Tjitjalenka)호에 타기 전 이민 브로커로 알려진 김수조[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 일본인 신분으로 일본인들과 함께 브라질에 도착]를 통해 브라질에 있는 농장을 구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브라질 산투스항에 도착한 후 상파울루주가 운영하는 브라스 이민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사실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대사 박동진]은 김수조의 토지 매입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으나, 1차 영농 이민단은 이미 부산을 떠난 뒤였다. 따라서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은 임시방편으로 브라스 이민수용소에 한인들이 머물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는데, 그 과정에서 김수조 역시 그들을 그곳에 머물도록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그를 멀리하였다.

브라질에 도착하고 3일 만에 농장으로 들어가는 것을 포기한 1차 영농 이민단 중 자본을 가지고 있던 12가구가 상파울루시의 서북쪽 자구아레(Jaguaré)에 있는 일본인이 경영하던 농지를 구입해서 가장 먼저 브라스 이민수용소를 떠났다. 그들의 명단과 각자 구입한 토지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

고광순[10알켈], 고계순[2알켈], 안계승[2알켈], 장민식[10알켈], 서재옥[3알켈], 조중한[6알켈], 윤봉설, 이정수, 홍인식, 최영범, 김윤수, 강형진.

고광순은 아리랑 농장을 구입한 배경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증언하였다.

“우리가 당시 할 수 있는 말이라고는 한국말 말고, 일본말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일본인들이 모여 살던 밀집 지역을 선택하여 들어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마련한 것이 일본인이 경영하던 농장인데, 우리는 그것을 ‘아리랑 농장’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중략) 우리가 그것을 구입한 데에는 나중에 땅값도 오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공기도 좋고 또한 전차의 종점이 있어서 상파울루까지의 교통도 좋았습니다. (중략) 아리랑 농장에 들어간 사람만 거기서 몇 년 있었습니다. 거기에 집도 짓고, 양계장도 짓고, 양계도 해 보고, 채소 농사도 해 보고. (중략) 근데 제일 먼저 한 게 토마토 농사였습니다. 아주 성공적이었죠.”

백옥빈은 아리랑 농장에서의 생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증언하였다.

“그때 우리는 포부가 컸습니다. 우리가 농사로 성공하면 한국에서 돈 없는 사람들을 데려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지요. 우리는 처음에 그곳에서 과일도 만들어 보고, 꽃도 심어 보고, 집도 지어 봤습니다. 그리고 양계도 하고. (중략) 하지만 우리는 호수를 만들고, 다리를 놓고, 별장 같은 건물만을 지을 생각만 했습니다. 우리는 농사꾼이 아니었지요.”

참고문헌
  • 현규환, 『한국유이민사』하-브라질 편(삼화인쇄(주)출판사, 1976)
  • 『브라질 이민 제30주년 기념집』(브라질 한인회, 1993)
  • 「남미 이민의 현실적 과제」(『교포정책자료』제18집, 해외교포연구소, 1978. 6. 30.)
  • 최금좌, 「이야기 브라질 한국이민사: 전 보사부 차관 한국진과 초기 이민자 고광순을 중심으로」(『포르투갈-브라질 연구』5-2,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08. 12.)
  • Choi Keum Joa, 「Além do Arco-Íris: A Imigração Coreana no Brasil」(USP- Universidade de So Paulo, 1991. 5.)
  • 재외동포신문(http://www.dongponews.net)
  • 인터뷰(브라질 한인 고광순, 2008. 7. 1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