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韓人國民會-地方會靑年部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시 핀카 엘 볼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설립 시기/일시 | 1936년 3월 10일 |
|---|---|
| 해체 시기/일시 | 1937년 |
| 최초 설립지 | 쿠바 마탄사스주 마탄사스 핀카 엘 볼로 |
| 원어 주소 | Finca El Bolo, Matanzas, Provincia de Matanzas, Cuba |
| 성격 | 한인 단체 |
| 설립자 |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
1936년 3월 10일 쿠바의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에서 청년들의 교육을 위하여 만든 단체.
1936년 3월 1일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에서 결의하여 9일 뒤인 3월 10일에 마탄사스 한인 청년들의 교양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를 조직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에는 총무부와 훈련부, 교육부, 통신부를 두고, 청년들의 훈련을 위한 동화회와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는 ‘약법(約法)’을 제정하여, 한인 청년들의 교양과 민족의식 고취, 단결과 친목 도모를 설립 목적으로 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에서는 한인 청년들을 위하여 청년토론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으나 흐지부지 없어지고 말았다. 이후 임천택(林千澤)이 청년들의 교육기관을 창립하기 위하여 ‘청년학원 창립 선언서’를 발표하고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의 허가를 받아 1932년 3월 10일 정식으로 청년운동 교육기관인 청년학원을 창립하였다. 임천택은 청년학원을 창립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야학을 열고, 독서회와 동화회, 토론회, 강연회 등을 열어 민족정신과 애국심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청년학원을 주도한 임천택이 신경쇠약증에 걸려 청년학원 사업이 중지되었다. 이후 대한인국민회 총회장 최진하가 각 지방회에 청년부를 조직하라는 공문을 보내자 1936년 3월 1일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통상회의에서 박창운을 청년부원으로 선정한 후 주석으로 앉히고 청년부를 조직하기로 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에서는 청년부 약법 제정을 임천택에게 의뢰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는 1936년 3월 10일 정식으로 창립되었고, 임원으로는 총장 이승택, 총무 임천택, 서무부장 이재희, 훈련부장 박도현, 훈련부 서기 임경옥, 교육부장 겸 야학교사 이세창, 연무부장 겸 남자반 교사 차희관, 의원 겸 여자반 교감 이세창, 위원 겸 유년반 교감 조덕중, 통신부장 임천택을 선정하였다[여성반장 이유동은 같은 해 10월 이홍점으로 교체함]. 그리고 청년들의 교양을 위하여 1936년 4월 3일 제1회 동화회를 열었고, 5월 22일 제2차 동화회, 6월 5일 제3차 동화회, 8월 7일 제7차 동화회, 8월 28일 제8차 동화회, 9월 11일 제9차 동화회. 10월 16일 제10차 동화회, 10월 23일 제11차 동화회, 11월 6일 제13차 동화회, 11월 27일 제14차 동화회, 12월 4일 제15차 동화회, 12월 11일 제16차를 개최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에서는 동화회와 함께 토론회도 개최하였는데, 1936년 12월 11일 ‘밤과 낮’이란 주제로 제10차 토론회를 열었다. 1936년 12월 28일에는 청년부대회를 개최하여, 총무부·훈련부·교육부·연무부·통신부 등의 부서에서 연무부를 없애고 임원을 개선하였다. 총장에 이승택, 총무와 통신부장에 임천택, 훈련부장에 박두현, 교육부장에 이세창, 훈련부 서기에 이홍점, 남성반장 김봉재, 여성반장 반선녀로 선정하였다. 1937년 1월 22일 제20차 동화회를 개최하였고, 3월 10일 청년부 창립 제1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으나 그해 중반 이후 사실상 활동이 없어지면서 조직이 해체되었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 청년부는 한인 청년들의 교양과 민족의식 고취를 위한 동화회와 토론회 등을 개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