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무학교

한자 崇武學校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센트로 카예 67 메르카도 산 베니토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10년 11월 17일
폐교 시기/일시 1913년 3월
최초 설립지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시 센트로 카예 67 메르카도 산 베니토
원어 주소 Mercado San Benito, Calle 67, Centro, Mérida, Yucatán, México
성격 군사 교육 시설
설립자 이근영|양귀선|조병하|이순근
정의

1910년 11월 17일 이근영, 양귀선, 조병하, 이순근 등이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 지역에 건립한 무관 양성 학교.

개설

광무 군인(光武軍人) 출신인 이근영, 양귀선, 조병하, 이순근 등은 위국헌신(爲國獻身)을 맹세하고 상무주의(尙武主義)를 표방하며 군사 훈련을 통해 독립군을 양성하고자 숭무학교를 설립하였다.

변천

1905년(고종 42) 멕시코 유카탄주로 노동 이민을 떠났던 한인들 중 광무 군인 출신이 주축이 되어 1909년(순종 3)경부터 한인 사회에 상무주의를 표방한 운동이 일어났다. 이런 맥락하에 1910년(순종 4) 11월 17일 무관 양성 학교인 숭무학교가 설립되었으나 멕시코혁명이 발발하며 1913년 3월 폐교되었다.

교육 활동

숭무학교의 학생 수는 118명이었으며, 광무 군인 출신으로 군사학에 밝은 이근영(李根永)이 교장을 맡아 군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근영은 구한말 공병 하사로 있던 경험을 살려 『군무요령(軍務要領)』을 저술하고 숭무학교의 군사 교본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군인들을 훈련할 적당한 교재가 없자 자신이 외워 오던 것을 엮어 『보병요조초선(步兵要操抄選)』이라는 이름으로 편찬하였다. 『신한민보』 1910년 9월 28일 자에 숭무학교 학생 명단이 게재되어 있다.

현황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관[엘 파보] 자리에서 마주 보이는 산 베니토(San Benito) 재래시장이 있는 곳에 숭무학교가 있었다. 2024년 기준 재래시장 자리에는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 있어 당시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참고문헌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3-멕시코, 쿠바(국가보훈처·독립기념관, 2003)
  • 이자경, 『멕시코 한인 이민 100년사』상·하(멕시코 한인 이민 100주년기념사업회, 2006)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15(국가보훈처·독립기념관, 2015)
  • 『신한민보』(1910. 9. 2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