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 지역 |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시 아베니다 코레이아두술 |
| 시대 | 현대/현대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8월 1일 |
|---|---|
| 전구간 |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시 한국 거리 |
| 원어 항목명 | Avenida Coréia do Sul |
| 원어 주소 | Avenida Coréia do Sul, Piracicaba, SP, Brasil |
| 성격 | 도로 |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시에 있는 도로.
피라시카바시는 상파울루 도심에서 약 160㎞ 떨어진 곳이다. 2011년 현대자동차가 진출하여, 2012년 11월 공장을 준공하였다. 이때 현대모비스를 포함한 8개의 업체가 동반 진출했는데, 브라질 진출 10년 만에 현대자동차는 총 180만 대의 판매 기록을 세웠다. 이는 주력 생산 모델인 HB20과 현대 크레타의 수준 높은 모델과 성능 외에도, 그동안 한국의 국가 브랜드 상승, 브라질에서의 한류 붐, 그리고 현대자동차의 꾸준한 투자와 현지인 고용을 확대한 결과였다.
현대자동차 브라질 공장[Hyundai Motor Brasil, HMB]은 주로 현대 HB20과 현대 크레타를 생산하는 공장이다. 2012년 첫 번째 HB20 모델의 생산을 시작했으며, 2013년 생산 설비를 확장하여 연간 18만 대 생산 체제로 돌입하였다. 이어서 2019년에는 1억 2500만 헤알을 투자하여 연간 생산 능력을 18만 대에서 21만 대로 높였다. 현대자동차 브라질 공장은 급증하는 수요로 2013년부터 2,700명의 직원들을 3교대로 근무하게 하며, 2018년에는 24시간 풀타임 운영 및 초과 근무 등으로 19만 3000대 생산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2019년 투자는 생산 공정 개선뿐 아니라, 신규 채용 없이 연간 생산 능력 3만 대로 이어졌다.
피라시카바의 어원은 브라질 원주민 언어인 ‘투피어(Tupi語)’로 “물고기가 쉬어 가는 곳”이란 뜻을 갖고 있다.
현대자동차 브라질 공장이 가동하면서 인근의 피라시카바 중·고등학교[교장 마르셀리]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기 위하여 2014년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원장 오석진]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한국어 교사를 파견 받기 시작하였다. 피라시카바 중·고등학교 마르셀리 교장은 2015년 6월 24일 학교 축제에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의 오석진 원장을 비록한 한인 사회의 여러 협회를 초대하였다. 이에 오석진 원장은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 소속의 서예팀은 물론 한인 사회의 여러 협회 회원들과 함께 방문하였다. 서예팀은 ‘붓글씨로 한국 이름 써 주기’ 행사를, 다른 협회들은 ‘전통 공연’, ‘한복 입고 사진 찍기’ 행사를 개최하였다.
가장 인기가 많았던 행사는 이동식 텐트에서 제공하는 한국 음식이었다. 무료 시식 코너에서 불고기, 잡채, 부침개, 닭튀김, 김치 등을 제공하여 맛보게 한 다음 또 다른 코너에서 그것들을 판매하는 전략이었는데,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와 같은 행사는 브라질의 한국 공관과 한인 사회가 공동으로 추진한 공공외교의 하나로, 한국과 한국 기업, 그리고 브라질 한인 사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성과의 결과로 피라시카바시에서 2021년 8월 1일 현대자동차가 있는 지역의 도로를 ‘한국 거리’란 뜻의 ‘아베니다 코레이아두술’로 명명하였다.
현대자동차 브라질 공장은 피라시카바시에 한정하지 않고, 상파울루시를 비롯한 브라질 여러 지역에서 개최하는 한국 관련 행사에 기꺼이 동참하여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브라질 한인회 최대 행사인 ‘한국문화의 날’ 축제인데, 브라질 한국 이민 60주년 기념행사를 겸한 2023년 8월 18~19일 상파울루시 봉헤치루에서 개최된 ‘한국문화의 날’ 축제에 현대자동차 브라질 공장이 많은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와 함께 약 30개의 협력 업체가 동반 진출하면서 총 인구가 40만 명에 불과하였던 피라시카바시에도 한인의 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한인 출장자들이 머물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와 한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 식당도 들어섰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강남게스트 하우스’와 ‘강남게스트 한국음식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