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암우

한자 丁岩右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오사카부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9년 1월 8일
활동 시기/일시 1934년
활동 시기/일시 1935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38년
몰년 시기/일시 1950년 9월 30일
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
활동지 일본 오사카부
원어 항목명 丁岩右
성격 사회운동가
성별
정의

1930년대 일본 오사카 지역에서 노동 운동을 전개한 사회운동가.

개설

정암우(丁岩右)[1899~1950]가 1930년 초에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에서 활동한 기록으로 보아 1920년대 중반에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이명은 무라이[村井]다.

활동 사항

정암우는 1899년 1월 8일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에서 출생하였다. 1930년대 초 오사카(大阪)에서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전협] 산하 토목건축노동조합에 가입하였다. 일본 노동조합전국협의회 오사카 지부를 조직할 때 이성국, 강상호, 이상길, 구재봉, 현호진, 이병화 등과 함께 가입하였다. 1934년 3월 탄압에 의해 와해된 일본 노동조합전국협의회 오사카 지부를 재건하기 위해 오사카의 직업소개소 노동자들에게 격문을 살포하였으며, 박애회의 구성원이던 박수봉과 최봉식 등을 회원으로 가입시켰다. 같은 해 11월에는 일본 공산당 간사이(関西) 지방위원회에 가입하였다. 12월에는 오사카에서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 간사이 지방협의회 재건준비위원회가 결성될 때 정암우는 홍원표와 함께 참여하였으며, 토목건축노동조합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35년 1월에 「일본 노동조합전국협의회 간사이 지방 재건위원회의 당면 임무」라는 제목의 문서를 만들어 배포하였다. 이로 인해 3월 1일 박형서 등과 함께 오사카부 경찰에 붙잡혀 조사를 받고 풀려났으나 1936년 3월 다시 검거되었다. 출옥 후 1938년 7월에 남은 동지들과 함께 일본공산주의자단에 합류할 것을 결의하고 동지 규합을 위해 노력하던 중 다시 검거되었다. 1939년 12월, 징역 4년을 선고받고 오사카 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정암우는 1942년 6월에 형기가 만료되었으나 전향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예방 구금의 대상자가 되어 오사카 형무소에 가수용되었다. 이후의 행적은 확인되지 않으며 1950년 9월 3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정암우의 공훈을 기려 2019년에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사』50-전시 체제와 민족운동(국사편찬위원회, 2003)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近代日本社会運動史人物大事典』(日外アソシエ−ツ, 199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