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금

한자 朴春琴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1년 4월 17일
활동 시기/일시 1921년 12월
활동 시기/일시 1932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7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45년 6월
몰년 시기/일시 1973년 3월 31일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
원어 항목명 朴春琴
성격 정치인
성별
정의

1921년 일본에서 상애회를 설립하고 친일 활동을 하였던 한인 정치가이자 활동가.

활동 사항

박춘금은 1891년 경상남도 양산에서 태어나 밀양에서 성장하였다. 1907년 일본으로 건너가 토목업의 단순 노동에 종사하면서 생활하였다. 나고야(名古屋)에서 거물급 폭력배로 성장하고 일본 우익단체 흑룡회의 우두머리인 도야마 미쓰루(頭山満)와도 교분을 맺게 되었다. 1921년 도쿄(東京)에서 친일 단체 상애회(相愛會)를 설립하고, 회장으로 유학생 출신인 이기동(李起東)을 내세우는 한편, 자신은 부회장을 맡았다. 상애회는 조선인 노동자를 일본에 동화시키는 일선융화(日鮮融和) 및 정신 교화와 경제적 구제를 꾀한다는 목표로 결성되었으며, 이를 위해 조선인 노동자의 직업 알선과 공동 숙박소를 운영하였다. 상애회의 적극 후원자는 사이토 마코토(斎藤実),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 등 조선 총독부 출신자들이었다. 상애회는 일본인 편에 서서 조선인 노무자를 폭력적 방식으로 착취하는 것에 앞장섰다.

1923년 9월 간토(關東) 대지진 발생 후 조선인 노무자 300여 명을 봉사활동의 명분으로 동원하여 파괴된 건물 및 도로 정리 등을 하며 일본 경시청의 환심을 샀다. 그 후 박춘금상애회(相愛會)를 동원해 조선인 조직이나 단체의 운동을 물리적이고 폭력적인 방법으로 와해시키거나 해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1924년 전라남도 하의도에서 소작쟁의가 발생하자 상애회 회원들을 동원해 소작농을 습격하였고, 1928년 일본인 지주의 요청으로 동원되어 하의농민회를 해산시켰다. 1924년 3월 반일 사상 박멸과 일선융화(日鮮融和)를 표방한 각파유지연맹(各派有志聯盟)에 참여하고, 1925년 9월 도쿄에서 일선융화를 표방한 일선구락부(日鮮俱樂部)의 발기인이 되었다. 1926년 상애회 회원을 동원해 가와사키의 조선인 노동 단체를 습격하였다. 조선 총독부 경무총감 마루야마 쓰루키치를 상애회의 이사장으로 추대하고, 일본의 융화정책에 앞장선 결과, 1932년 3월 제18회 제국의회 중의원 의원선거에 도쿄 제4구의 의원 후보로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1936년 제19회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는 낙선하였지만 1937년에 재출마해 당선하였다. 중의원 재임 중에 조선인 지원병 제도 시행에 관한 청원을 거론하였다. 중일 전쟁 이후에는 경성(京城)에서 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간부, 경기도 도회의원 등을 초청하여 시국간담회를 주최하고 조선인에 대한 참정권 부여와 병역 문제, 의무 교육 실시 등을 논의하였다. 1941년 조선임전보국단의 경성 지역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조선인 유력자들을 모아 조선신궁 참배, 필승 기원 행사 등을 주관하였다. 국방비를 헌납하고, 조선인의 학병 출진을 적극적으로 독려하였다. 1945년에는 대의당을 조직하고 당수에 취임하였고, 7월 24일 경성부 부민관에서 아시아민족분격대회를 개최하였다. 그 자리에는 조선 총독부의 고위 관료들도 다수 참석했으나, 조문기, 유만수, 강윤국 세 청년이 폭탄을 던진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를 부민관 폭파 의거라 한다.

해방 후 일본으로 도피하였고, 1949년 반민족행위 피의자로 지목되었다. 일본에서는 도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본부 고문, 일한문화협회의 상임고문을 맡았다.

묘소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900번지 천주교 밀양성당 아래 박춘금의 묘소가 있었다. 1992년 박춘금이 상임고문을 맡았던 일한문화협회에서 박춘금의 무덤 옆에 송덕비를 세우자 밀양 시민 사회에 의해 적극적인 친일 부역자였던 박춘금의 묘와 송덕비를 철거하자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박춘금의 친일 행적과 정치 폭력배였던 진상이 밝혀지면서 2002년 박춘금의 묘는 파묘되고, 송덕비는 철거되었다.

참고문헌
  • 『민족정기의 심판』(혁신출판사, 1949)
  • 『친일파 99인』(돌베개, 1993)
  •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9)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7(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9)
  • 西田鶴子, 『朴春琴代議士小伝: 内鮮融和の魁·日本主義の雄』(大日統社, 1933)
  • 松田利彦, 『戦前期の在日朝鮮人と参政権』(明石書店, 1995)
  • 『植民地帝国人物叢書 33』[朝鮮編 14](ゆまに書房, 2010)
  • 小熊英二, 「朝鮮生まれの日本人: 朝鮮人衆議院議員·朴春琴」(『コリアン·マイノリティ研究』, 新幹社, 1998)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