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相愛會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일본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설립 시기/일시 | 1921년 12월 23일 |
|---|---|
| 해체 시기/일시 | 1941년 3월 |
| 원어 항목명 | 相愛会 |
| 성격 | 재일 조선인 친일 단체 |
| 설립자 | 이기동|박춘금 |
1921년 일본에서 이기동·박춘금의 주도로 설립된 재일 조선인 친일 단체.
1919년 이후 재일 조선인 노동자·유학생 사이에 노동 단체·사상운동 단체들이 대거 조직되었다. 일제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친일 단체를 조직하려는 구상을 세웠다. 일제의 사주로 만들어진 상애회는 작업 현장의 경호 용역, 품삯의 일부를 갈취하는 자들로 구성된 단체였다. 총본부 회장에는 이기동(李起東), 고문에는 당시 일본 재계의 거물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 일본 우익의 거두인 도야마 미츠루[頭山滿, 아시아주의자의 총수이자 玄洋社의 총수]와 이누가이 츠요시(犬養毅)를 위시한 정치인과 기업인들이 고문을 맡았다. 1923년 9월 이후에는 조선 총독부사이토 총독과 경무국장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도 고문을 맡았다. 상애회의 전신은 상구회인데, 결성 배경은 알 수 없다. 상애회 총본부가 남긴 『상애회사업경개(相愛會事業梗槪)』[1923년 6월]에서도 이기동과 박춘금이 운영하던 구제사업단체 정도로 표현되어 있다.
상애회는 설립목적으로 첫째, 인류 상애의 정신과 공존 공영의 본의에 입각한 일선 융화, 둘째, 민족적 차별 관념의 철폐, 셋째, 조선인 노동자를 위한 정신적 교화와 경제적 구제 등을 목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첫째, 조선인 노동자의 공동 숙박, 둘째, 직업 소개, 셋째, 인사 상담, 넷째, 노동자 교육 등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1921년 12월 23일 상애회가 설립되었다. 도쿄총본부는 처음에 아카사카(赤坂)구 덴마쵸(伝馬町) 1정목(丁目) 1번지에 두었다가, 관동 대지진이 일어난 1923년 9월 이후에는 일선회관[日本橋구 人形町 소재]으로 옮겼다. 이 과정에 조선총독부의 재정 지원이 있었다. 총본부를 1924년 1월에 혼죠구 다이헤이쵸(太平町)로 이전했다가 도쿄의 도시 정리 과정에서 이 지역이 소학교 부지로 지정되자 혼죠구 긴시쵸(錦系町) 4정목 5번지에 땅을 구해 신관을 건축하고 1929년 4월에 이전했다.
상애회 중심 인물로는 이기동·박춘금이 있었는데, 박춘금(朴春琴)이 실질적으로 상애회를 만들었고, 이기동이 총본부 회장을 맡았다. 상애회는 전국에 지부와 출장소를 설립했다. 1924년 초 서울에서 김정규·정원조·구연상 등을 간부로 상애회의 조선지부로 볼 수 있는 노동상애회를 조직하여, ‘내선 공존 공영·직업 소개·독립운동자 구제’를 표방했다. 1924년경 총본부 회원 수는 6천 명 정도였으나, 1927년 말에는 본부와 지부 회원 총수가 10만 명에 달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 1930년대에는 회원이 3,000명을 넘었지만, 조선인 측에 대한 비판이 많았던 것 등의 이유로 회원이 감소했다. 그러나 1931년을 기점으로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해 협화회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세력이 약해지고 당국이 협화회를 조선인 통제조직으로써 상애회의 대체기구로 설정하면서 존재 가치가 희박해져 1941년 3월 해산되었다.
광복 후 남조선과도입법회는 상애회를 친일단체로 규정하였다. 1947년 3월 17일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제안한 「부일협력자 민족반역자 전범 간상배에 대한 특별법률 조례」 초안에는, '한일합방 이후 해방 당시까지 일정시대에 있어서 총 18개 항에 해당한 자로써 일본 또는 자기 이익을 위하여 동포에게 해를 끼친 악질 행위를 한 자를 부일 협력자로 규정하고, 3년 이상 10년 이하의 공민권 박탈' 규정이 있다. 이 가운데 제10항은 '일진회, 녹기연맹, 대의당, 일심회, 국민협회, 대화동맹, 상애회, 충맹단, 금차회, 대화숙보호관찰소 등 친일단체의 주요 간부 및 직원'이다.
해방 후 각 단체와 정당이 제기한 친일청산론은 '조선인민공화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소집 요강[1945. 11. 24]과 중앙인민위원회 규정[1946. 1. 30]'부터 '제헌국회의 반민족행위처벌법[1948. 9. 22]'까지 총 10건이다. 이 가운데 상애회를 부일협력자 또는 친일파로 특정한 사례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안이 유일하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안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 나왔으므로 실현되지는 못했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때는 조선인 학살 뒤처리를 위해 조선인 노동자 300명으로 노동 봉사대를 조직, 일제의 주구 역할을 유감없이 수행했다. 이후 일제 치안 당국에 협력하면서 학살된 조선인의 시체 처리와 이재(罹災) 노동자 수용 등에 노력한 공을 인정받아, 일제가 물심 양면 적극적인 후원을 하였다. 이에 1928년 재단 법인을 구성하였고, 재단 이사장으로 전직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인 마루야마 츠루키치를 영입하였다.
상애회의 활동은 네가로 구분된다. 첫째는 노동자 파업에 개입이다. 파업 진압은 사업장 내에서 노무계원이었던 상애회원의 주요 임무였다. 상애회가 노동운동을 탄압하는 대가로 기업주로부터 비용을 받거나 회사 노무계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상애회원들은 파업 현장에 폭력단과 함께 나타나 한인 노동자에게 협박과 폭력을 구사해 단결과 투쟁 의지를 억누르곤 했다. 회원 가입 당시에 ‘노동운동을 진압한다는 서약서’를 강제적으로 쓰게 하고, 노동조합을 습격하거나 파업 현장에 몰려가 폭행하도록 사주했다.
둘째는 직업소개사업이다. 직업소개사업은 취지서와 사업개요에서도 강조하는 분야이자 목적을 달성해야 할 우선 사업이었다. 특히 1920년대 초에는 조선인노동조합이나 조선인을 위한 직업소개소가 없었으므로 상애회를 통해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상애회는 직업소개를 통해 노동자와 고용주로부터 일정한 소개료를 받았는데, 고용주들은 소개료를 노동자의 임금에서 공제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이 감당하는 부담은 늘었고, 이익을 고용주와 상애회에 빼앗기는 꼴이었다.
셋째는 노동자 숙박소 운영이다. 일본인들의 차별의식과 높은 집세로 인해 한인들이 주택을 구하기 어려웠으므로 주택문제는 현안이었다. 상애회는 주택문제 해결을 동화정책 수행에서 시급한 문제로 파악하고, 1921년 12월 창립과 동시에 무료숙박소를 설립했다. 숙박소는 1929년부터 유료로 전환했다. 1924년에 총본부를 이전하면서 총독부에서 제공한 다이헤이쵸 2정목 소재 사무공간에 다수의 조선인을 공동 숙박하도록 했으며, 상애회 스스로 지도보호의 임무에 해당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숙박소 외에 간이주택도 건설했다.
넷째는 야학교 설립이다. 상애회는 동화정책을 원활히 수행할 방안의 하나로 교육문제에 주목했다. 조선인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과 학업에 대한 강한 열망과 지향성을 이용한 사업이었다. 상애회 야학교는 1922년 1월 도쿄에서 문을 열고 숙박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신’ ‘일본어’ ‘한글’ ‘산수’ 등을 가르쳤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는 일요학교로 운영했다. 1923년에는 오사카에 야학교를 개설했다. 도쿄의 야학교와 일요학교는 1929년에 폐지되었다.
1924년 4월 친일 각 파의 유지 연맹을 비난한 『동아일보』 사장 송진우(宋鎭禹)를 폭행하였고, 1924년 7월에는 하의도(荷衣島) 소작 쟁의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농민측 청년회를 습격하였다.
1927년 하마마쓰 노동 쟁의 때는 파업 분쇄를 위한 폭력단으로 활동했다. 1928년 2월 일본 경찰과 함께 재일 조선인 사상단체인 흑우회·흑우연맹·계림장을 습격해서 재일 조선인을 살해하였다.1930년경에는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결혼을 주선한다는 명목으로 여공들을 납치, 불법 감금·사형(私刑) 등을 범했다. 1930년말 박춘금은 사이토 마고토의 요청으로 의친왕 이강(李剛)을 설득, 협박하기도 하였다.
상애회의 각종 만행에 대해 재일조선인노동총동맹을 비롯해 도쿄조선무산청년동맹회, 일월회 등 한인 운동단체들은 1926년부터 공동전선을 구축하고 상애회 박멸 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재일 조선인 융화·동화 단체 가운데 회원 수가 가장 많고, 또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면서 조선인을 착취하고 조선인 노동 및 사상단체를 탄압했던 조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