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교육

한자 民族 敎育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정의

중국의 한인[조선족]들이 자녀들에게 민족의식을 토대로 민족정체성을 함양하려고 실시하는 교육.

개설

한인[조선족] 민족 교육의 시작은 한인들이 만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주 초기 한인들은 대한제국의 국권 회복과 민족 독립이라는 구국 운동 차원에서 실시하였다. 이에 1945년 광복 이전의 민족 교육은 광복이 목표였다.

이후에는 중국에서 살아가면서 자녀들에게 민족의식을 토대로 민족정체성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많은 조선족학교가 세워졌고 학교에서 우리의 글과 말을 가르쳤다. 한인[조선족]은 민족 언어· 문자로 소학교에서 대학교까지 완전한 민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949년 중국 최초의 민족 대학인 연변대학이 연길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한인[조선족]은 교육 문화 수준에서 중국에서 가장 높다고 알려져있다. 중국의 제3차 인구 조사 자료에 의하면, 1982년 현재 한인[조선족] 1,000명당 대학졸업자가 20명으로 한족에 비해 3.33배가 높으며, 중국 소수 민족 전체에 비해 5배나 많다. 고중과 초중 졸업자도 중국의 평균 수준보다 각각 2.77배, 1.72배 많다.

한인[조선족]이 120-130여 년 동안 민족 언어와 문화 전통을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은 민족 자체의 언어·문자와 민족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불기 시작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의 영향과 1992년대 한중 수교 이후 한인[조선족]들의 한국 이주 붐이 일어나면서 조선족 마을의 공동화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수십 년 간 지속되었던 조선족 소학교와 중학교 등이 폐교 및 합병이 되어 급격하게 민족 교육이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이전에는 조선족 마을마다 소학교가 있었고, 조선족 향에는 초급 중학, 현에는 몇 곳의 고중이 있어 대학 진학 전까지 민족 언어와 문화를 배워왔지만, 이제는 학생수 감소로 폐교되는 학교가 늘어 민족 교육이 위기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위치한 조선족 소학교는 1985년 기준으로 419개교였는데, 1995년에는 불과 10년만에 177개교로 줄었고, 조선족 중학교 수는 118개[초중 92개, 고중 8개, 완전 중학 18개]에서 49개[초중 34개, 고중 8개, 완전 중학 7개]로 줄었다.

한인[조선족] 산재 지역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흑룡강성의 경우, 조선족 소학교는 1990년 현재 382개교에서 1997년에는 80%가 감소한 51개였고, 중학교는 77개교 중 15개만 겨우 운영되었다. 문제는 지금도 계속해서 조선족 학교가 사라지고 있어 앞으로의 민족 교육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1960년대 초 실시했던 초중 교육 보급도 무너지고 있다. 흑룡강성 의란현의 조사에 따르면, 초중생들의 중퇴율이 11.1%에서 20%로 크게 늘었고, 초중 교육 보급률도 71%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지난 50년간 민족 교육의 최고 영예를 누려왔던 조선족 교육이 위험수준에 온 것이다. 대부분의 농촌 소학교 1, 2학년 학급에는 학생수가 1~2명 정도이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민족 교육은 유지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 더구나 중국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강조한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가 대학 필수 교재로 채택될 전망이고, ‘애국주의 교육법’ 시행으로 중화민족을 강조하고 나선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 지우기를 갈수록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민족 교육의 앞길은 더욱 험난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유병용, 『한민족의 해외 이주와 민족 교육 문제』(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2001)
  • 최상록·지총선·김용철,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전망』(연변대학출판사, 1995)
  • 박금해, 「중국 조선족 교육 그 현황과 과제」(『아시아 태평양 지역 연구』 3-1, 1999)
  • 이병진, 「중국 조선족의 민족교육 실태와 과제」(『비교 교육 연구』 10-1, 2000)
  • 황기우, 「중국 조선족의 민족 교육 실태 분석」(『교육 문제 연구』 21, 2004)
  • 권영준, 「동북아의 역사 및 문화 : 중국 조선족의 민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한국동북아 경제 학회, 201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