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자 社會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1978년 개혁개방과 1991년 한중 수교 이후부터 중국 동북 3성 지역에서 살던 한인[조선족] 사회와 그 변화 모습.

개설

1978년 중국 공산당의 개혁개방과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 사회를 강타한 코리안 드림은 조선족 사회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간도를 비롯한 동북 3성 지역에 한인[조선족] 사회가 처음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860년대 함경도 사람들이 정부의 가혹한 세금 포탈과 자연재해·기근 등을 피해 이주하면서부터이다. 이후 간도 지역으로 건너간 사람들은 함경북도 주민 2만 6천여 명을 비롯해 대략 6만여 명에 달한다.

1910년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이후 한인들의 간도 이주는 점차 가속하였는데, 이들이 지금의 한인[조선족] 주류가 되었다. 이들은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도 자신들만의 문화적 순수성을 고집하며 종족적 정체성(ethnic identity)을 고스란히 유지해왔다.

2010년 중국 정부가 실시한 인구센서스에 따르면, 한인[조선족] 인구는 183만 929명이고,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 민족 가운데 15번째로 많은 수였다. 이 가운데 한인[조선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길림성(吉林省)이고 조선족 전체 인구의 60%에 해당하는 114만 5,688명이다. 이밖에 한인[조선족]은 요령성과 흑룡강성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길림성 안에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 두 곳의 민족 자치 구역을 보유하고 있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산업화의 물결을 따라잡기 위해 조선족은 거주지를 벗어나 중국 연해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그중 약 4분의 1이 베이징, 상해, 광저우, 선전, 칭다오 등지로 이주했다.

또한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많은 한인[조선족]들이 한국으로 진출했다. 한국으로 가면 더 많은 물질적 부를 이룩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러시아, 미국, 유럽 등으로 활발하게 이주하고 있다. 중국 한인[조선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타 지역이나 국가로의 이주가 가장 두드러진다. 따라서 한인[조선족]의 전통적인 거주지였던 동북 3성 지역과 연변조선족자치주, 장백조선족자치현 등지에서 집거지가 지속해서 해체되어 가는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1994년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 일보』는 동북 지역에 사는 조선족 가운데 부자가 된 사람들의 부류를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중국 내의 대도시로 진출하여 장사를 통해서 해 돈을 번 경우이다. 이들에 대해 중국 정부는 안목을 넓히고 재능을 길러 돈을 모은 치부의 선구자들이라 평가했다. 둘째, 외국에 사는 친척의 도움을 받아 부유하게 됐지만, 능동적으로 사업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셋째, 고향에 남아 장사하는 재능 있는 사람들도 일정한 발전을 이룩했지만, 상대적으로 입지가 취약한 사람들이다.

『인민 일보』는 세 부류 가운데 첫 번째 부류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소수 민족이 현재의 기회를 포착해 자신의 발전을 가속하려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사상 해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모든 방법을 동원해 폐쇄적인 사고를 타파하고 자기 발전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한인[조선족] 사회의 공동화 현상이 이미 21년 전부터 빈번하였다는 점이다.

개혁개방과 한중 수교로 인해 날로 해체되어 가는 한인[조선족] 사회가 당면한 문제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모국어 교육이다. 이와 관련하여 조선족 학교의 학생 수 감소는 어린이들이 모국어의 상실로 이어진다. 이미 20년 전부터 등교 거리 문제 등으로 가까운 한족 학교에 보내는 사례가 발생했고, 이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인[조선족] 출신 학자는 이런 현상을 두고, “조선족 교육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앞으로 50년 이내에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동포들은 거의 한족에게 동화되고 말 것”이라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실제로 중국의 산업화는 국내 대규모 노동력 이동을 견인했고, 호구 제도로 인해 인구 이동 통제 정책이 작동되면서 한인[조선족]들은 사회 복지와 교육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게 되었다. 이에 한인[조선족]의 민족 공동체 유지와 발전이 어려움에 처하였다. 이밖에 결혼과 취업 등의 인구 이동과 출산율 저하, 급속히 확산하는 세대 간 단절 등으로 인해 젊은 세대들은 민족 정체성이 상당히 약화하였고, 공동체 역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심각한 진통은 한인[조선족] 학계 안의 논쟁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한인[조선족] 학계 연구는 주로 비관론과 낙관론으로 양분되는데, 전자가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비관론자들은 통상적으로 전통적 주거지 붕괴, 이에 따른 민족 정체성 상실로 한인[조선족] 사회가 동화의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낙관론자들은 합리적 선택의 결과에 따른 성장통에 불과하다고 본다. 하지만 낙관론은 소수의 의견이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한인[조선족] 사회의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지 못하다.

급속한 현대화와 더불어 중국 조선족 사회 역시 중국의 성장과 더불어 상당한 발전을 이룩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앞에서 간략히 언급했던 문제들이 박생하는 주요한 원인은 한인[조선족]들이 처한 주변 환경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만약 한반도가 안정되고 한편 중국과의 교류에서 충분한 개방도가 보장된다면 한인[조선족] 사회는 앞으로 새로운 발전을 위한 강력한 모멘텀을 얻게 될 것이다. 경제적인 발전은 한인[조선족] 구성원들로 하여금 여유로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면서 해체의 이유도 자연스럽게 소멸될 것이다.

결국 조선족 사회의 운명은 한반도의 상황과도 직결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적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한반도가 평화 통일을 달성하고 강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발전한다면 한인[조선족] 사회의 문화는 한반도문화를 지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문화적으로도 한반도와의 유대 관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한인[조선족] 사회 인구 유동은 부단히 지속되고 있고 현실적으로 이러한 인구 유동을 막을 방법도 없다. 조선족 학계는 이러한 현상을 ‘통탄’으로 인식하여 현실적인 대안 모색은 상대적으로 외면하고 있다. 개혁개방과 코리안 드림 등의 원인으로 불거진 한인[조선족] 사회의 인구 유동과 집거지 공동화 현상은 필연적인 현상이고 구성원들 스스로 선택한 합리적인 결과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진행된 한인[조선족] 사회의 디아스포라는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한인[조선족] 사회가 끝내 해체될 것이냐의 문제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여러 사회 문제에도 불구하고 한인[조선족] 사회는 끊임없이 자기의 정체성을 재구성해 왔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이제 그들 스스로 어떤 대안을 모색할 시점이 임박한 것은 분명하다. 한인[조선족] 사회의 진정한 변화는 지금부터이다.

참고문헌
  • 성균관대 중국 연구소, 엮음 『차이나 핸드북』,김영사, 2014
  • 진챵이, 「개혁·개방기의 조선족 사회 변화와 과제」(『전남 대학교 세계 한상 문화 연구단 국제 학술 회의』5, 2011)
  • 강진웅, 「디아스포라와 현대 연변 조선족의 상상된 공동체: 종족의 사회적 구성과 재영토화」(『한국 사회학』46-4, 2012)
  • 경향 신문(http://www.khan.co.kr)
  • 인민 일보(http://paper.people.com.cn)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