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양 세종 한국어 학원

한자 瀋陽 世宗 韓國語 學院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요령성 심양시 화평구 돈화 1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교육 기관
전화 86 024 81804345
해체 시기/일시 1991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1992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최초 설립지 요령성 심양시 화평구 돈화 1로
정의

요령성 심양시에 있는 한국어 전문 학원.

설립 목적

중국 한인[조선족]의 도시 진출 및 대도시 정착 생활과 더불어 자녀들이 한족 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심양 세종 한국어 학원은 점차 어한국를 잃어 가는 한인[조선족] 아이들에게 민족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심양 세종 한국어 학원은 1991년에 설립하였다. 중국 한인[조선족]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도시 진출 또는 대도시 진출과 더불어 한족에 급속히 동화되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이 문제에 대한 민족적인 자각이 일어난 것은 꽤 오래 전이다. 하지만 그것이 구체적인 실체로 등장하기 시작한 계기는 1989년 북경 조선어 학교[1994년 북경 한국어 학교로 개칭]의 탄생부터이다.

한인[조선족]이 여러 곳에 흩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제기됐던 사안이 대도시에 한국어 학교를 설립하는 문제였다. 대도시의 한국어 학교는 한국에 동화되어 가는 한인[조선족] 청소년들에게 민족 교육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북경 조선어 학교가 설립된 이후, 한인[조선족]이 주로 이주하는 주요 도시에 잇따라 한국어 학교가 설립되었다.

1990년 석가장시 조선어 학교에 이어 1991년에 설립된 조선어 학교가 바로 심양 세종 한국어 학교이다. 그 후 1992년에 목단강, 1994년에 하얼빈, 1995년에 단동과 장춘, 위해에 각각 설립되었다. 그리고 1998년에는 내몽고 사범 대학 외국어 학원 부설 한국어 학교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길림시 진흥 한국어 배훈부(培訓部)가 설립되었다. 2000년에는 해구 코리아 언어 예술 학교가 설립되는 등 거의 매년 1개의 한국어 학교가 설립되어 2015년까지 총 15개의 한국어 학교가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심양 세종 한국어 학원은 크게 두 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하나는 대도시에서 살면서 민족어를 상실한 한인[조선족] 청소년에게 민족 언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한국어 학습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인[조선족]의 언어를 보존할 뿐만 아니라 한족에게 한인[조선족]의 문화와 언어를 소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지충남, 「요령성 재중 한인 사회 단체 활동과 네트워크」
  • 거창군, 황유복 중앙 민족 대학 교수 초청 직장 교육
  •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
  • 중국 조선족 인재 양성만이 살길이다
  •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