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애창 가요 60수』

한자 朝鮮族 愛唱 歌謠 60首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가요집
편자 남희철|연변 조선족 문화 발전 추진회|연길시 문학 예술계 연합회
간행자 연변인민출판사
저술 시기/일시 2012년
간행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정의

조한 대역(朝漢對譯)으로 한인[조선족] 애창 가요 60수를 뽑아서 편찬한 가요집.

편찬/간행 경위

2012년 9월 3일은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성립 60주년 기념일로서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 이후 한인[조선족] 음악 예술가들은 민족 전통 음악에 대한 열정과 노력으로 사상성과 예술성, 대중성이 높은 가요들을 창작하였다.

이러한 가요는 한인[조선족]의 정서를 표현하였으므로 한인[조선족] 음악의 보고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한인[조선족] 음악 작품들이 일부 작품 외에는 중국어로 번역 출판되지 못하였으므로 60주년 경축 기념으로 지난 60년간 창작된 가요 중에서 대표성과 영향력이 있는 가요 60수를 엄선하여 한문 CD판을 제작하고 조한 대역판을 출판하였다.

이러한 형식은 한인[조선족] 음악 출판 분야에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한인[조선족] 가요의 발전 맥락과 진실한 모습을 체계적으로 알리는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중국의 여러 민족들이 한인[조선족] 가요를 이해하고 음악 교류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연변의 지명도를 홍보하려는 취지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조선족 애창 가요 60수』는 총128쪽 분량의 A4 형태로서 연변인민출판사 2012년에 한국어와 중국어를 함께 표기하고 악보와 함께 편찬한 것이다. 책임 편집을 김광호가 했으며, 표지 설계는 정려란이 하였다. 총 1,000권을 인쇄하였다.

이 책의 총 기획은 조성일연변 조선족 문화 발전 추진회 회장, 지원준연길 철남 열 공급 유한 회사 이사장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주필은 남희철연변대학 예술 학원 교수이지 음악 평론가가 맡았으며, 부주필은 신호 음악 평론가, 고창모 작곡가이며 위원은 황양묵연변 조선족 문화 발전 추진회 부회장이며 작곡가, 한정자연변 조선족 문화 발전 추진회 비서장이자 작곡가, 장문일연변 민간 문예가 협회 전임 부주석이자 번역가, 박송철연길시 문화관 부관장이자 작곡가가 맡았다.

구성/내용

이 책자에는 60곡이 악보와 함께 한국어, 중국어 가사를 순서대로 넣었다. 〈고향생각〉[김인준 작사, 허세록 작곡], 〈아름다운 나의 고향〉[최정연 작사, 정진옥 작곡], 〈처녀의 노래〉[최정연 작사, 정진옥 작곡], 〈벌판에 붉은 해 솟았네〉[이복 작사, 허원식 작곡], 〈북경에 가고 싶소〉[김성휘 작사, 정진옥 작곡], 〈사과배 따는 처녀〉[장동운 작사, 최삼명 작곡], 〈손풍금타는 총각〉[김창석 작사, 동희철 작곡], 〈연변 인민 모주석을 열애하네〉[한윤호 작사, 김봉호 작곡], 〈첫 수확〉[김세형 작사, 김동진 작곡], 〈고향길〉[김태갑 작사, 안계린 작곡], 〈선생님 들창가 지날 때마다〉[김철 작사, 동희철 작곡], 〈고향은 언제나 내 마음속에〉[주룡 작사, 염승학 작곡], 〈그대들은 생각해보았는가?〉[이선근 작사, 방용철 작곡], 〈노래를 부릅시다〉[석화 작사, 이성재 작곡], 〈금실북과 은실북〉[이유용 작사, 김봉호 작곡], 〈눈이 내린다〉[김동진 작사, 최삼명 작곡], 〈내고향 오솔길〉[황상박 작사, 최삼명 작곡], 〈동동 타령〉[석화 작사, 안계린 작곡], 〈돌다리〉[석화 작사, 고창모 작곡], 〈봄비가 내리네〉[최현 작사, 남희철 작곡], 〈사랑아 어찌 늙으랴〉[김응준 작사, 이성재 작곡], 〈수양 버들〉[김성휘 작사, 허원식 작곡], 〈세월은 흘러도〉[김학송 작사, 박학림 작곡], 〈아름다운 연변이여〉[김창호 작사, 방용철 작곡], 〈아 산간의 봄은 좋아〉[최현 작사, 김성민 작곡], 〈어머니〉[이철룡 작사, 안국민 작곡], 〈붉은 해 변강을 비추네〉[한윤호 작사, 김봉호 작곡], 〈어머니가 계시는 고향은〉[석화 작사, 고창모 작곡], 〈오래오래 앉으세요〉[허동철 작사, 방룡철 작곡], 〈장백의 새아리랑〉[최현 작사, 안계린 작곡], 〈정다운 밤거리〉[임임원 작사, 남희성 작곡], 〈제비가 돌아왔네〉[김경련 작사, 박학림 작곡], 〈춤의 고향 노래의 고향〉[김득만 작사, 김남호 작곡], 〈추억의 노래〉[석화 작사, 한병낙 작곡], 〈친구의 노래〉[한동오 작사, 최창규 작곡], 〈떼목이 내린다〉[이상각 작사, 이인희 작곡], 〈교정의 종소리〉[유영호 작사, 김경애 작곡], 〈무지개 인생〉[유영호 작사, 윤강철 작곡], 〈생일초불〉[김정권 작사, 박송철 작곡], 〈봄물이 흐르네〉[전영순 작사, 지문영 작곡], 〈빈털터리〉[최건 작사, 최건 작곡], 〈어떻게? 요렇게!〉[박명룡 작사, 황양묵 작곡, 〈잊을 수 없는 고향〉[박춘선 작사, 류영근 작곡], 〈형제민족 함께라면〉[김룡운 작사, 황양묵 작곡], 〈이 밤도 달은 둥글다〉[최기자 작사, 한병낙 작곡], 〈정다운 고향〉[석화 작사, 김승철 작곡], 〈타향의 달밤〉[안충만 작사, 최연숙 작곡, 〈타향의 봄〉[원호연 작사, 최시렬 작곡], 〈파란 열차〉[손동일 작사, 황상룡 작곡], 〈별과 꽃과 선생님〉[석화 작사, 황기욱 작곡, 〈어머니의 눈물〉[최매자 작사, 황상룡 작곡], 〈구제비둥지〉[정호원 작사, 김창근 작곡], 〈당신을 기다릴거야〉[한정자 작사, 한정자 작곡], 〈삶의 사랑 넘치는 기쁨〉[이춘하 작사, 장영남 작곡], 〈아버지산 어머니강〉[이흥국 작사, 박서성 작곡], 〈장고야 울려라〉[이결사 작사, 김봉호 작곡], 〈장백송〉[김학천 작사, 장천일 작곡], 〈진달래〉[이영 작사, 안국민 작곡], 〈고향의 꿈, 아리랑 나의 사랑〉[이흥국 작사, 임봉호 작곡]

의의와 평가

이 책자는 한인[조선족] 가요의 대표곡 60수를 선별하여 조선문과 중문을 병행 표기한 최초의 가요집이다.

참고문헌
  • 『조한대역 조선족 애창가요 60수』(연변인민출판사,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