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늙은 兩主의 對唱(듀엣) |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악극 |
|---|---|
| 양식 | 듀엣 |
| 작가 | 미상 |
| 연주자 | 최중철|홍미옥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58년 |
| 비물질 문화유산 지정 일시 | 2007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0년대 |
노래를 위주로 독백과 무용이 결합된 길림성연변 한인[조선족]의 지방 특색이 짙은 예술 표현 형식.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1958년경 남녀 두 가수가 남녀 대창 형식으로 영감, 노친으로 분장하여 첫선을 보였고 당시 관중들로부터 강렬한 반향을 일으켰다. 1990년대에 창작된 남녀 대창 「어떻게 요렇게」는 북경으로 여행을 간 노년 부부가 기뻐하는 모습을 통해 노년의 행복한 생활을 잘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시대의 발전과 정신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2007년 연변조선족자치주 정부에서 비준한 제1기 주급 무형 문화유산 대표 종목에 선정되었다. 대표적인 연기 보유자는 제3대 전승인 최중철(崔仲哲)[남, 1960년생], 홍미옥(洪美玉)[여, 1970년생]이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1950년대 말 화룡현 문공단이 세워지면서 이룡연 작사, 김태국 작곡의 「복된 살림 이루었네」[일명 「모주석과 공산당의 은덕일세」]가 창작된 이후 백여 수의 작품이 창작되었다.
그 중에는 「늙은 양주 씨름 구경」·「새마누라」·「어떻게 요렇게」·「늘그막 사랑」·「올롱볼롱」·「따끈히 삽시다」·「진달래 심으러 갑시다」·「따끈한 사랑」·「늙은 양주 박사 마중」 등과 같은 우수한 작품이 있다.
1990년대에 유행되었던 「어떻게 요렇게」[현규동 작사, 황양묵 작곡]는 제2차 전국 소수 민족 문예 회연 대회에서 김응·이정숙의 2인창으로 공연되었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한인[조선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 양식으로 진행된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의 형식이 매우 특이한데 배역을 맡은 두 배우는 금슬 좋은 부부로 혹은 생활 속에서 다투는 부부로 역할하면서 ‘늙은 양주’의 애정과 희로애락을 그대로 전달해준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해학적이면서도 순박한 가사, 전통 맛이 나는 무용 동작과 지역 특징을 띤 곡조 등으로 인해 대중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어서 한인[조선족] 사회에 널리 보급되었다. 가창력도 중요하지만 동작 표현도 중요하고 동작의 일치성을 요구한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노래를 위주로 하고 대화나 춤을 보조적으로 한다. 연기할 때에는 양 주역이라 해서 반드시 남녀 배우가 무대에 오르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남분 여장, 여분 남장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늙은 양주의 대창(듀엣)」은 군중 노선을 견지해왔으며 점차 지방 특색을 지닌 예술 형식으로 부상하였다. 그 풍격이 순박하며 희극적인 요소도 농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