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생각」

한자 故鄕생각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가요
작곡가 허세록
작사자 김인준
연주자 김정숙|이철혁
창작|발표 시기/일시 195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7년 6월
정의

이국 땅으로 전쟁에 나간 병사가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한인[조선족] 성인 대중 가요.

개설

「고향생각」은 1955년 김인준이 작사하고, 허세록이 작곡한 곡이다. 허세록[본명은 두종(斗宗)]은 작곡가, 음악 교육가로서 중국 한인[조선족] 대중 음악과 아동 가요 발전에 큰 영향력을 미친 선구자로 「고향생각」등 150곡을 작곡하였다.

「고향생각」은 1957년 6월 연변인민출판사에서 간행한 『노래집』제14집에 처음 발표되었다.

공연 상황

1956년 창작 합평 회의가 열렸는데 정진옥은 「고향생각」을 “획기적인 작품이다.”라고 극찬했으며 후에 연변인민방송국의 전파를 타고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애창하는 명곡이 되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시기 반동 노래로 몰려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

「고향생각」은 가수 김정숙이 처음 불렀고 후에 연변 가무단의 테너 이철혁이 불러 또 다른 매력을 선보였다.

구성

「고향생각」은 ‘파’[계명]음과 ‘시’[계명]음을 사용하지 않고 5음만을 사용하였으며 악식 결구는 4개의 악구[a+b+c+d]로 구성된 단순 1부분 형식으로 되었고 박자는 4/3박자, 장단은 반 살풀이 장단이다.

내용

「고향생각」은 전쟁에 나간 병사가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아름다운 정서로 표현하였다. 초소를 지키는 젊은 병사의 향수를 절절한 선율에 담아 서정적인 원무곡풍의 가요로 철학적이고 사색적이며 소박하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1. 남쪽 바다 수평선 위에 보름달이 떠오르면 / 젊은 병사 고향 그리워 야자수 부여잡고 노래 부르네 노래 부르네 / 함박꽃 피어나는 내 고향이여 아 그리운 고향 어머니 계신 고향

2. 은빛 달이 물 위에 흘러 갈매기 떼 날아들면 / 젊은 병사 고향 초소 지키여 총가목 부여잡고 노래 부르네 노래 부르네 / 승리의 기쁨안고 돌아가리라 아 그리운 고향 내 사랑 있는 고향

의의와 평가

「고향생각」은 음역이 13도로 일반인이 부르기에는 좀 벅차지만, 리듬이 복잡하지 않으며 선율이 부드럽고 우아하여 60년이 지난 지금도 한인[조선족]들이 애창하고 있다.

참고문헌
  • 김남호, 『중국 조선족 전통 음악 대중 음악론』(민속원, 2010)
  • 연변 조선족 문화 발전 추진회·연변 음악가 협회·연변 동북아 예술 연구원 편찬, 『중국 조선족 가요 대전』(연변교육출판사, 2007)
  • 남희철·석화·김성희 편, 『우리 노래 100년에 깃든 이야기』(연변인민출판사, 2012)
  • 김창근, 『중국 조선족 가요 100수 분석』(연변인민출판사, 201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