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中國 朝鮮族 學校志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교육/교육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교 현황 저술서 |
|---|---|
| 편자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
| 표제 | 중국 조선족 학교지 |
| 편찬 시기/일시 | 1998년 |
1998년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에서 수집 및 정리하여 간행한 동북 3성 조선족 학교들의 현황 모음집.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점차 줄어드는 조선족 학교 수에 위기감을 느끼고, 학교 관련 기록을 목적으로 조선족 학교지를 간행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조선족 학교의 변천과 발전을 기록하여 한인[조선족] 교육이 걸어온 역사적 행적과 성과 및 한인[조선족]의 교육에 대한 열의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중국 조선족 학교지』는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연구소가 주도하여 집필하였고,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현 연변교육출판사)에서 1998년 출판되었다.
『중국 조선족 학교지』는 상하 두 권의 32절지 크기이다.
『중국 조선족 학교지』는 모두 9개 부분으로 대학으로부터 각지 학교와 교육 연구, 학교 교육과 직접 관련한 기관 및 타민족의 한국어 교육, 마지막으로 옛 학교와 민족 교육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을 소개하는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의 학교는 대개 도시와 진, 향 순서에 따르면서도 설립 시기 순으로 배열하였다. 각 학교 소개는 우선 일반 상황을 설명하고, 그 학교의 주요 연혁과 성과 및 특징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중국 조선족 학교지의 학교들의 수치는 1997년 6월 말 까지의 조사 결과에 준한 것이다. 내용의 다음의 목차와 같다.
제1부분 민족대학, 제2부분 흑룡강성, 제3부분 길림성 산재지구, 제4부분 요령성, 제5부분 연변, 제6부분 내몽골 및 기타, 제7부분 교육 관련 부문, 제8부분. 타민족 중의 조선어 교육, 제9부분 옛 학교와 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조선족 학교지』는 한인[조선족] 민족 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이해하고 그 개혁과 미래 발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이다. 또한 각 학교 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연계를 강화하며 정보를 교환하고 성장, 발전하는데 교량적 역할을 할 것이다. 특히 수많은 학교가 설립, 통합 혹은 폐지되는 상황에서 한인[조선족] 교육사 자료를 남겼다는 데 가장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