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 교육사』

한자 中國 朝鮮族 敎育史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교육/교육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술서
편자 박규찬
표제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시기/일시 1991년
정의

1991년 박규찬·권녕하 등 한인[조선족] 교육자들이 중국 한인[조선족] 교육사를 저술한 책.

편찬/간행 경위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은 박규찬중국연변대학 전임 총장의 주도하에 진행되었다. 동북 3성 교육 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민족 사무 위원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집필 및 출판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인 만주로 이주한 이후로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인[조선족] 교육의 발전 과정을 전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중국 조선족 교육사』를 편찬하게 되었다.

서지적 상황

『중국 조선족 교육사』는 연변대학 전임 총장 박규찬에 의해 주도되었고, 1991년 동북 조선 민족 교육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형태

『중국 조선족 교육사』 판형 크기는 850×1168㎜이며, 모두 48만 1천 자이다.

구성/내용

『중국 조선족 교육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 내용은 다음의 목차와 같으며, 마지막에는 부록이 첨부되어 있다. 제1장. 9.18 사변 전의 중국 조선족 교육, 제2장. 일제 강점 시기의 중국 조선족 교육, 제3장. 해방 전쟁 시기의 중국 조선족 교육, 제4장. 건국 후 17년간의 중국 조선족 교육, 제5장. 문화 대혁명 시기의 중국 조선족 교육, 제6장. 새로운 역사적 발전 시기의 중국 조선족 교육, 부록. 중국 조선족 교육사 연대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중국 조선족 교육사』는 중국 교육의 보편성과 민족 교육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작성되었다. 이 책은 중국 한인[조선족] 교육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한인[조선족] 교육사를 기록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 박규찬,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