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中國 朝鮮 語文 敎育史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교육/교육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술 저서 |
|---|---|
| 편자 | 남일성|방학철|임창길 |
| 표제 | 중국 조선 어문 교육사 |
| 편찬 시기/일시 | 1995년 |
1995년 9월 남일성·방학철·임창길 등이 편찬한 조선족 학교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역사서.
한국어 교육은 한인[조선족] 교육의 기초이며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한인[조선족] 청소년들은 오늘날까지 기초 교육 단계의 조선족 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민족의 어문 교육이 한인[조선족]으로 하여금 오늘날까지 민족적 특성과 민족 문화를 보존하는데 크게 일조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정리, 기록할 필요에서 『중국 조선 어문 교육사』를 출판하게 되었다.
『중국 조선 어문 교육사』의 크기는 850×1168㎜, 32절지이며, 분량은 총 37만 2천 자로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중국 조선 어문 교육사』는 한인[조선족] 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사회 발전의 단계성과 한국어 교육의 발전 특징에 따라 총 9개의 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머리말, 제1장 9.18 사변 전의 조선 어문 교육, 제2장 일제 동북 강점 시기의 조선 어문 교육, 제3장 광복으로부터 건국 전까지의 조선 어문 교육, 제4장 건국 초기 조선 어문 교육, 제5장 50년대 중기의 조선 어문 교육, 제6장 대약진 시기의 조선 어문 교육, 제7장 국민 경제 조절 시기의 조선 어문 교육, 제8장 문화 대혁명 시기의 조선 어문 교육, 제9장 새로운 역사 시기의 조선 어문 교육과 맺음말, 부록 등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조선 어문 교육사』는 한인[조선족]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첫 학술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