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 조선족 교육사』

한자 延邊 朝鮮族 敎育史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교육/교육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교육사 저술서
편자 연변대학 교육학 심리학 교연실|연변 민족 교육 연구소 교육사 연구실
표제 『연변 조선족 교육사』
편찬 시기/일시 1987년
정의

1987년 연변대학 교육학 심리학 교연실과 연변민족교육연구소 교육사 연구실에서 공동 편찬한 연변 한인[조선족] 교육사에 관한 저술.

편찬/간행 경위

『연변 조선족 교육사』는 이러한 한인[조선족] 교육사를 기록해야 하는 필요성과 많은 사람의 기대 속에서 탄생하였다. 당시 박규찬, 김유훈, 권녕하 등 연변 교육계의 명망 있는 분들이 집필 위원을 맡았으며, 연변대학 교육학 심리학 교연실과 연변민족교육연구소 교육사 연구실에서 보조 집필을 하였다. 집필 위원들은 중국 교육의 보편성과 민족 교육의 특수성 입장에서 연변 한인[조선족] 교육 발전의 맥락을 밝히고, 민족 교육의 역사적 경험 및 교훈을 종합하였다.

서지적 상황

『연변 조선족 교육사』는 1987년 7월 연길시연변인민출판사에서 초판이 발행되었다. 그 후 2년 뒤 1989년에 같은 제목으로 한국의 논장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형태

『연변 조선족 교육사』는 한국어로 된 서적이다.

구성/내용

『연변 조선족 교육사』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고, 부록으로 ‘연변 조선족 교육사 연대기’가 첨부되었다. 『연변 조선족 교육사』의 6개 장 제목은 1장 ‘9.18 사변 전의 연변 조선족 교육’, 2장 ‘일제 강점 시기의 연변 조선족 교육’, 3장 ‘해방 전쟁 시기의 연변 조선족 교육’, 4장 ‘건국 후 17년간의 연변 조선족 교육’, 5장 ‘문화 대혁명 시기의 연변 조선족 교육’, 6장 ‘새로운 역사적 발전 시기의 연변 조선족 교육’ 등이다.

의의와 평가

『연변 조선족 교육사』는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한인[조선족] 교육의 문제점을 역사를 통해 풀어가고자 편찬한 것이다. 이에 이 책은 연변조선족자치주가 한인[조선족] 교육의 과거와 오늘, 내일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 연변대학 교육학 심리학 교연실, 『연변 조선족 교육사』(연변인민출판사, 198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