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一貫制 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학교 |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합 운영하는 학교 또는 초등학교로부터 고등학교까지 통합 운영하는 학교 |
|---|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합 운영하는 학교 또는 초등학교로부터 고등학교까지 통합 운영하는 학교.
일관제 학교는 보통 9년 일관제 학교 또는 12년 일관제 학교로 불린다. 이는 중국에서 9년제 의무 교육 제도를 전면 실시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조선족 학교의 경우 9년 일관제 학교 또는 12년 일관제 학교 심지어 유아 교육까지 통합하여 13년 일관제 학교까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조선족 학교의 경우 거주 지역의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 일관제 학교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일관제 학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국가에서 규정한 의무 교육 연한을 따르고 있거나 그 이상 일관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학교나 지역 사회가 우려하는 학생 유실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특히 한인[조선족]의 경우 결손 가정 자녀들이 많기 때문에 과거 일관제 학교를 운영하지 않을 때 소학교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유실되는 학생들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일관제 학교 운영 이후 학생들의 유실은 상당히 완화되었다.
셋째, 입학 시험이 취소 또는 간소화 되었다. 과거 각 단계별 교육을 따로 운영 했을 경우 중학교 입학 시험을 치러야 했다. 하지만 일관제 학교를 운영하면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입학하는 입학 시험을 취소하였다. 또한 일부 고등학교까지의 일관제 학교에서는 고등학교 입학 시험을 간소화하였다. 넷째, 행정 구조가 비교적 규범화되고 규모가 작기 때문에 관리가 쉬워진다. 위로부터 아래까지의 단일한 행정 구조만 잘 갖추면 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자원 교류가 쉬워지고 교사들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조선족 학교의 경우 9년 또는 12년 일관제 학교를 운영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우선, 교사 자원의 교류가 가능해지므로 초중고등학교 간의 교사 교류가 쉬워진다. 이중 특히 예체능 교사의 교류가 중요하다. 현재 조선족 학교의 경우 예체능 교사가 매우 적기 때문에 각 단계별 예체능 교사를 따로 모집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관제 학교의 경우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매우 쉬워진다.
현재 한인[조선족] 집단 거주 지역인 연변의 경우 농촌 학교들은 대부분 일관제 학교의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고 산재 지역의 조선족 학교도 대부분 일관제 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요령성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일관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일부 일관제 학교는 기숙 제도를 마련하여 결손 가정 자녀들의 교육을 도모하고 있다. 한인[조선족]의 경우 결손 가정 자녀의 비중이 학교별로 최소 50%, 최대 90%에 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안전과 교육적 방법으로 9년 또는 12년 일관제 기숙 학교를 운영하는 것이 한인[조선족] 학생들에게 매우 유리하다.
일관제 학교는 조선족 학교의 분포망을 조절하고 교육 자원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경로이다. 우선, 일관제 학교는 반드시 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져서 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아야 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음으로써 민족 교육 행정을 규범화하여 일관제 학교의 정상적인 운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효과적인 조치로 학생 원천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한인[조선족]의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학교 부지를 옮김으로써 한인[조선족]들이 모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대련이나 단동 지역의 학교들은 이러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또한 교육 질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