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반화 교육

한자 小班化 敎育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교수모형 중국에서 새 교육 과정 개혁과 함께 보급되기 시작한 교수 모형
정의

중국에서 새 교육 과정 개혁과 함께 보급되기 시작한 새로운 교수 모형의 하나.

소반화 교육의 특징

소반화 교육은 학급의 인원 수를 20~30명 내외로 줄임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학습과 생활을 집중하자는 취지에서 시도된 교수 개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변에서는 조선족 학교에 한해 2008년부터 전면 도입 및 실시한 교수 개혁 방법이다.

소반화 교육은 중국에서 전면적인 소질 교육을 지향하기 시작하면서 제시된 새로운 개념이다. 조선족 학교의 경우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에 들어 급격히 감소되는 인구 수로 인해 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가 약 30명으로 조정되어 소반화 교육을 하기에 매우 적합하였다.

소반화 교육은 적은 학생 수라는 전제 하에 일정한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이는 학급 학생 수의 감소 및 수업의 운영 형식과 교수 환경이 변화되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육관의 변화를 아우르는 것이다.

소반화 교육은 교사로 하여금 전체 학생들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의 일방적 가르침에서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으로 수업의 운영이 전환되며 교사와 학생 사이, 학생과 학생 사이의 교류가 깊어지고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수준별 학습을 이끌어주는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조선족 학교에서의 소반화 교육

조선족 학교의 소반화 교육은 2007년 무렵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가장 먼저 시도되어 2008년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전 지역의 조선족 학교에 전면 도입되었다. 그 뒤 동북 3성의 기타 조선족 학교에서 도입 및 실시하였다.

소반화 교육의 의의

조선족 학교는 학급당 학생의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결손 가정 자녀가 학급당 60~8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 상황이다. 자기 주도적이고, 협동적이고, 탐구적인 아이를 키운다는 소반화 교육의 취지는 이와 같은 조선족 학교의 상황에 매우 적합하며 조선족 교육의 개혁과 발전에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 『전주 조선족 소학교 소반화 교육 실시 방안』(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국, 2008)
  • 정준, 「연변 지역 조선족 소학교 소반화 교육 실천 연구」(연변대학 석사 학위 논문,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