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과정

한자 敎科 課程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조선족 학교에서 가르치는 각 교과목의 교육 내용.

교과 과정의 특징

교과 과정은 한인[조선족] 민족 교육 기관에서 주로 가르치고 있는 교육 내용을 가리킨다. 즉 조선족 학교에서 가르치는 각 교과목을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다.

조선족 학교는 중국의 소수 민족 교육으로 그 교과 과정은 민족 교육의 특징을 지키고 있는 동시에 국가의 교과 과정과 통일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선족 학교의 교과 과정 역시 중국에서 2001년 시행하기 시작한 새 교육 과정에 따라 운영되었다.

중국의 새 교육 과정은 국가 교육 과정, 지방 교육 과정, 학교 교육 과정 삼위 일체의 교육 체계를 통해 실시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조선족 학교의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이와 같은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 과정 하의 교과 내용들이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인[조선족] 자체적인 민족 특색을 가지고 있는 교과 과정 역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족 학교의 교과 과정은 민족 특색과 지방 특색 및 자체 학교 특색을 모두 가지고 있는 특징을 지닌다.

교과 과정의 내용

조선족 학교의 교과 과정의 구체적 내용 가운데 특별히 민족 특색과 지방 특색을 지닌 교과 과정은 일부는 직접적으로 조선족 학교에서만 운영하고 있는 교과 과정이고 일부는 전반 교과 과정에 반영되어 크게 계획된 교육 과정과 잠재적 교육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계획된 교육 과정은 국가 교육 과정에 의해 설치된 교과 가운데 한국어와 중국어가 있고 지방 교육 과정과 학교 교육 과정으로는 주로 민족 문화 즉 조선족 문화 교과를 설치하였다. 한국어는 한인[조선족]의 모국어로 민족의 언어와 문자 및 문학을 중심으로 민족의 문화를 담고 있다. 중국어는 제2 언어로 중국의 언어와 문자 및 문학을 다루고 있다.

또한 민족 문화에는 기타 교과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인[조선족]의 유형 문화와 무형 문화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를테면 한인[조선족]의 역사, 민속, 세시 풍속 등이다.

그 밖에도 다양한 잠재적 교과 내용들이 있다. 이를테면 수학 교과 등 여러 교과 속의 다양한 한인[조선족]을 대표하는 이미지나 문구 등이 있고 학교의 캠퍼스 문화를 한인[조선족] 문화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교과 과정의 의의

조선족 학교의 교과 과정은 조선족 학교로 하여금 중국에서 국가적인 정체성과 민족적인 정체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는 매개체이다. 이는 한인[조선족]이라는 민족적 특징을 보유하면서도 중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가능케 한다. 이 교과 과정에 대한 연구와 의미 부여는 한인[조선족]의 정체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김해영,「중국 조선족 학교 민족 문화 교육 과정 개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인문 논총』 제71권 제4호, 서울 대학교 , 201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