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新興屯 村史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역사/근현대|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요령성 심양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단행본 |
|---|---|
| 저자 | 『신흥둔 촌사』 편찬 위원회 |
| 간행자 | 요령민족출판사 |
| 표제 | 『신흥둔 촌사』 |
| 편찬 시기/일시 | 2012년 10월 |
| 간행 시기/일시 | 2012년 10월 |
| 간행처 |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구 신흥둔촌 |
요령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 소가둔구(蘇家屯區)의 조선족 마을 신흥둔촌(新興屯村)의 역사를 정리한 책.
1937년 신흥둔촌은 한인들이 이주해 오면서 형성되었는데, 이주 1세대들이 이미 사라졌고, 1945년 해방 이후에 온 한인들도 몇 명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신흥둔촌의 역사를 정리하고자, 2012년 10월 『신흥둔 촌사』를 간행하였다.
『신흥둔 촌사』를 집필하는데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기 1949-1980』, 『조선족 약사(朝鮮族略史)』, 『심양시 조선족지(朝鮮族誌)』, 『소가둔구지(蘇家屯區誌)』, 소가둔구 당교에서 정리한 『대사기』, 『성교 공사 지』 등의 자료를 참고, 인용하였다.
『신흥둔 촌사』는 한 권으로 한글과 중국어로 간행되었다. 1쪽부터 204쪽까지는 한글로, 205쪽부터 346쪽까지는 중국어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신흥둔 촌사』는 개관편, 경제편, 당·정·군중 단체편, 민족 교육편, 문화편, 생활편, 전통 문화편, 인물편 등 총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신흥둔촌의 발전을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귀중한 사진 수십 장이 수록되어 있다.
『신흥둔 촌사』는 이주 한인들의 피와 땀으로 불모지를 비옥한 토지로 탈바꿈시킨 70여 년의 역사를 세세하게 기록한 귀중한 역사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