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 한국어학과

한자 延邊大學 科學技術學院 韓國語學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북산가 15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연변대학 한국어 학과
설립자 연변대학
개교 시기/일시 1995년 9월
최초 설립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북산가 15호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연변대학(延邊大學) 과학기술 학원(科學技術學院)에 있는 한국어학과.

교육 목표(교훈 포함)

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 한국어학과는 한국어 학습을 기본으로 하며, 동시에 한국의 문화, 역사, 정치, 경제, 외교, 사회 등의 분야에 관한 지식도 습득한다. 4년 동안 정통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번역 등의 방면에 관한 양질의 훈련을 받는 동시에 영어, 전산 등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기본 지식을 갖춤으로써 졸업 후 한국어 교육 및 경제, 무역, 문화, 출판, 교육, 외사, 신문, 방송, 번역, 통역, 관리, 여행 등의 분야에 쓰임 받는 일꾼을 배양한다.

변천

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 한국어학과는 1995년 9월에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 책임자는 강봉근이었고 학생은 8명이었다. 1996년부터 국가의 인가를 받아 국가의 통일 시험을 통해 학생을 모집하기 시작하였다.

1995년에 3년제로 시작한 한국어과는 1998년에 4년제 본과로 되었으며, 2000년 학부제 실시와 함께 외국어 학부 한국어 전업으로 되었다가, 2003년 3월부터는 동양어 학부 한국어 전업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현재 약 500여 명 정도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대부분 중국 내 유수한 한국 기업 및 중국 기업에 취업을 하였고 일부는 공무원 등으로 일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중국 각 지역에 있는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동문들도 다수 있고, 현재 한국에서 석·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동문도 다수 있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매년 연구 포럼을 개최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교육 활동

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은 중외 합작 대학으로 특히 한국어과는 90% 이상이 한국인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 환경이 여느 대학보다도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또 한국어 회화 능력을 높이기 위해 여름 학기 동안에는 한국에서 온 봉사자들과 함께 생활하는 'Korean House'를 운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3학년 1학기와 2학기에는 재학생 전원을 한국에 있는 결연 대학에 교환 학생으로 보내어, 한 학기 동안 한국에서 공부하며 한국어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학생들은 한국의 유명 대학에 장학생으로 유학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며, 학부제의 장점을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에 따라 부전공 및 복수 전공을 할 수도 있다.

현황

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 한국어학과는 1998년 당시 학과장에 김기일이었고 학생은 3년제 전과생 74명이 있었다.

2014년 현재 연변대학 과학기술 학원 한국어학과에는 교수 14명이 재직하고 있다.

참고문헌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학교 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6)
  • 연변대학 과학 기술 학원 (http://www.yust.edu/ysm/kr/mai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