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룡현 제1 고등 소학당

한자 和龍縣 第1 高等 小學堂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대랍자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교육기관
설립자 온윤화(溫潤和)
개교 시기/일시 1908년
최초 설립지 북간도 화룡현 대랍자(大砬子)
정의

북간도 화룡현 대랍자(大砬子)에 거주하는 조선인 자녀들을 대상으로 설립된 현립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화룡현립 제1 고등 소학당의 교육 목표는 이주 조선인들의 자녀에 대한 교화에 있었다.

변천

화룡현립 제1 고등 소학당은 1908년 북간도 화룡현 대랍자[현재의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명동(明東) 지역]에서 설립되었다. 당시 설립자 및 교장은 온윤화(溫潤和)였다.

청말(淸末) 중국 정부에서는 조선인들을 동화시키기 위해 귀화 입적(歸化入籍), 치발 역복(薙髮易服)을 강요하는 가운데 교육을 통해 이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그 가운데는 정부에서 관립 학교를 세워 직접 운영하기도 하고, 중국인 학교에 조선인 학급을 만들거나 사립 조선인 학교를 관립 학교로 전환하는 등의 방법을 취했다.

화룡현립 제1 고등 소학당 역시 이러한 배경 하에 설립된 것이다. 이 학교는 설립 초기 학생이 95명이었는데 그 가운데는 중국인 학생이 35명, 조선인 학생이 60명이었다. 교직원은 모두 4명이었다.

교육 활동

화룡현립 제1 고등 소학당에서는 모든 교육 과정을 중국 정부의 내용과 동일하게 하였고 교수 용어도 중국어를 사용하였다. 다른 관립 학교와 마찬가지로 조선인 학생들에게 우선 중국어와 국문 자음을 가르치고, 어느 정도 학생들이 여기에 익숙해지면 중국 교과 내용을 교육하였고 중국어 수업을 듣도록 했다. 그러면서 점차 학생들을 중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학생들로 만들어 나갔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