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和龍縣 德新社 岩洞 漢文 私塾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덕신사 암동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교육기관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화룡현 덕신사 암동 |
19세기 말 20세기 초 북간도 화룡현 덕신사 암동에 설립된 조선인 사숙.
북간도 화룡현 덕신사 암동 한문 사숙에서는 조선인 자녀들에게 한문을 가르치면서 계몽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북간도 화룡현 덕신사 암동 한문 사숙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되었다. 당시 이주 조선인의 자녀 교육열은 매우 높았는데 이주민 십 수 호만 모여지면 서당을 차려 자녀 교육을 진행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교육열을 바탕으로 이주 조선인들은 스스로 서당을 개설하고 운영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동의 한문 사숙이다. 대개 선비나 유지들이 차린 서당들은 이름을 갖추고 있었는데 비해 이 사숙은 그냥 한문 사숙으로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학생은 11명 정도였다.
북간도 화룡현 덕신사 암동 한문 사숙에서는 통감, 사략, 계몽편(啓蒙篇), 소학, 천자문, 습자, 작문 등을 주요 교과목으로 가르쳤다. 당시 훈장에게 어떤 서책이 소장되어 있느냐 하는 것과 훈장이 과거 어떤 서책을 중심으로 공부하였느냐 하는 것은 서당에서 어떤 내용을 가르치느냐와 직결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서당마다 가르치는 내용들이 조금씩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