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和龍縣 德新社 金洞 漢文 私塾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덕신사 금동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조선인 서당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화룡현 덕신사 금동 |
19세기 말 20세기 초 북간도 화룡현 덕신사 금동에 설립되었던 조선인 서당.
화룡현 덕신사 금동 한문 사숙은 조선인 자녀들에게 한문을 중심으로 계몽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화룡현 덕신사 금동 한문 사숙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되었다. 당시 이주 조선인들은 이주 가구가 십 여호가 되면 자녀 교육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마을마다 사숙이나 서당이 있었고 조선인들은 어떠한 방법을 동원해서든지 반드시 자녀 교육을 하는 등 교육에 대한 열의를 보였다.
이러한 교육열을 배경으로 건립된 사숙들 가운데 일부는 선비나 유지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하기도 하였다. 또 일부는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함께 설립하는 경우도 있었다.
화룡현 덕신사 금동에 건립된 한문 사숙의 경우에는 별다른 이름이 없이 한문 사숙이라 불리었다. 이로 보아 촌민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설립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학생은 19명 정도였다.
화룡현 덕신사 금동 한문 사숙에서는 한문을 중심으로 가르치면서 조선인 자녀들의 계몽교육을 위주로 진행하였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훈장의 영향이 컸다. 훈장이 소장하고 있는 서책을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금동 한문사숙에서는사서(四書)와 통감, 사략, 지지, 역사 등을 중심으로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