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集安縣 井橋 書堂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정교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서당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집안현 정교 |
19세기 말 20세기 초 길림성(吉林省) 집안현(集安縣) 정교(井橋)에 설립되었던 조선인 서당.
집안현정교 서당의 설립 목적은 이주 조선인 자녀들에게 한문과 한자를 깨우치도록 전통 교육을 시키기 위함에 있었다.
집안현정교 서당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되었다. 이주 조선인들은 이주 정착과 함께 가장 먼저 자녀들의 교육을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백방으로 자녀 교육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촌민들이 함께 모여 서당을 설립하여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것이었다.
정교 서당 역시 굳이 이름을 붙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마을 사람들이 자녀교육을 위해 스스로 서당을 꾸린 것으로 보인다. 당시 학생은 11명이었다.
집안현정교 서당에서는 한문을 중심으로 가르쳤다. 『천자문(千字文)』,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중심으로 조선인 자녀들이 한문을 깨우치고 한자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당시 서당의 훈장들은 대부분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서책을 중심으로 가르쳤는데 만약 소장한 것이 없을 경우 훈장 스스로 한자를 위주로 한문을 가르쳤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