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集安县 南館 書堂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남관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서당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집안현 남관 |
19세기 말 20세기 초 집안현(集安縣) 남관(南館)에 설립된 조선인 서당.
집안현남관 서당은 조선인 이주민들이 자녀들이 한문 중심의 글공부를 할 수 있도록 설립한 것이다.
집안현남관 서당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되었다. 이주 이후 어느 정도 안착한 조선인들은 바로 자녀들의 교육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조선인 가구가 십여 호만 되어도 서당을 차려 자녀 교육을 꾀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교육을 중요시하였다. 집안현 남관의 서당은 이름이 없이 그냥 서당이라고 지은 것으로 보아 마을 사람들이 자녀들을 교육하기 위해 힘을 모아 설립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학생은 5명 정도였다.
집안현남관 서당은 조선인 자녀들에게 한문을 중심으로 가르쳤다. 따라서 대개 『천자문(千字文)』이나 『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의 교과목을 중심으로 강독과 제술 및 습자를 가르쳤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