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청현제1 고등 소학당

한자 汪淸縣 第1 高等 小學堂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백초구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고등 소학당
설립자 고사평(高士平)
개교 시기/일시 1910년
최초 설립지 북간도 왕청현 백초구
정의

북간도 왕청현(汪淸縣) 백초구(百草溝)에서 1910년에 이주 조선인 자녀들을 대상으로 설립된 중국 관립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왕청현제1 고등 소학당의 교육 목표는 이주 조선인 자녀들에게 중국어와 중문을 가르침으로 조선인의 동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변천

청말 민국 초기의 중국은 지속적으로 이주해 오는 조선인들에 대한 동화 정책을 펴기 시작하였고 그 동화 정책 실시의 가장 빠른 길이 교육이라고 여기고 정부의 명의로 관립 학교들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그 첫 번째가 바로 화룡현 광제욕의 양정 학당이다.

당시 관립 학교는 정부 직속의 관립 학교에 조선인과 한족 학생 공학으로 운영하는 학교, 관립 학교의 간민 학급, 조선인 사립 학교를 접수하여 관립 학교로 전화하는 등 그 유형은 다양하였다.

왕청현제1 고등 소학당 역시 이러한 배경에서 설립되었다. 왕청현제1 고등 소학당은 고사평(高士平)이 설립한 후 교장을 담당하였고 설립 초기 학생은 22명이었고 교사는 1명이었다.

교육 활동

왕청현제1 고등 소학당은 한어와 한문으로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치발역복(雉發易服)과 귀화 입적을 강요하였다. 북간도 대부분의 학생이 조선인 자녀들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학생들이 한어와 한문에 적응할 때까지 3~6개월 정도 기다린 뒤 완전히 중국어로 강의를 하였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