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길현 길흥 학교

한자 永吉縣 吉興 學校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교육 기관
개교 시기/일시 1924년
폐교 시기/일시 1928년
개칭 시기/일시 1926년
최초 설립지 길림성 영길현 태평향 신안툰
정의

1924년 길림성 영길현 태평향 신안둔에 설립되었던 조선인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영길현 길흥 학교의 교육 목표는 반일 독립운동을 위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변천

영길현 길흥 학교는 1924년에 설립되었다. 길림시 서쪽 90여리, 영길현 태평향 남쪽 10여리 되는 곳에 신안툰이란 마을이 있었다. 그곳은 원래 제2 송화강 지류인 오룡하 가의 넓은 황무지였다. 신안촌은 중국으로 건너간 한인들이 황무지를 개척해 수없이 일군 정착촌이자 독립운동 근거지 중 한곳이다. 이곳에서는 특히 정의부참의부, 신민부 등 3부의 통합을 위한 회의가 열려 1020년대 만주 지역 독립운동 통합의 근거지로도 이름이 높다.

당시 3·1 운동에 참가했던 이규동과 장사억 등 반일 투사들이 1921년 무렵 이곳으로 망명하여 왔다. 그들은 한족 지주로부터 200쌍 황무지를 3년 동안 무상으로 경영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조선족 농민을 받아들여 1922년 봄부터 논을 풀기 시작하였다.

이규동과 장사억의 창의에 따라 1924년 가을 신안툰에 학교를 지었다. 조선족 농민들은 자체로 세 채의 교사를 지었는데 그것을 교실과 교무실, 숙사로 썼다. 1924년 창립 당시에 학교명은 길흥 학교였다. 그 후 1926년에 길범(吉範) 학교라고 바꾸었다. 길림 지구에서의 모범 학교라는 뜻을 나타냈다. 창립 당시 학생은 120명이었다. 대부분 외지 학생이었고 학비를 내지 않고 농민들의 집에서 식사하고 학교 기숙사에 살면서 공부하였다.

길흥 학교의 초대 교장은 이규동이고 학교 후원회의 회장은 김정일, 학감에 이종대, 교감에 이일현인데 사감을 겸하였다. 그 외 교사로는 이현현, 주광, 박맹호, 이○휘, 이○○ 등 7명이었다. 교사들은 봉급도 없이 학생들 집을 돌면서 밥을 먹었고, 가을에 학전에서 나온 경비로 의복 같은 것을 해결하였기에 교원들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존대를 받았다. 길흥 학교는 1925년부터 연속된 자연 재해로 농민들이 계속 떠나자 1928년 봄에 해산을 선포하였다.

교육 활동

길흥 학교의 학제는 초등과 4년, 고등과 2년이었으며, 복식 교수를 진행하였다. 설치한 교과목으로는 국어, 산술, 역사, 지리, 박물, 중어(漢語), 수공, 도화, 습자, 창가, 체조 등이었다. 국어 교과서는 주로 민족주의 계열의 정의부에서 편찬한 『국어 독본』이고 산술은 『산학통편(算學通編)』, 역사는 『배달족사』, 중어는 중국 소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이고 체조는 기본상 군사 훈련이었다. 창가 시간에는 주로 「애국가」, 「국치 기념가」, 「3·1 운동가」, 「독립군 행진곡」 등을 배우고 불렀다. 후에 주광, 박명호 등 진보적 교원들에 의해 무산 계급 혁명의 노래를 불렀다.

교수 내용은 문화 지식을 가르치는 외에 주로 일제를 타도하고 조선 독립을 쟁취해야 한다는 사상 교육이 중심이었다. 교장 이규동은 정의부 민생부를 겸임하고 있어 매번 외출했다가 돌아와서는 학생들에게 시사 강화를 하였다. 그 요점은 철천지 원수인 일제를 타도하고 조선 독립을 하루 속히 실현하자는 것이었다.

길흥 학교에서는 3·1 운동 기념일, 어천절, 국치 기념일, 개천절 등 기념일은 크게 지냈다. 때때로 정의부의 지도자들이 와서 격정에 넘치는 강연을 할 때면 학생뿐만 아니라 군중이 모이는 반일 애국의 수업이 되었다. 1927년 가을 길흥 학교에서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의 대표 100여 명이 모여 3부 통합 회의를 할 때에는 학교에서 한 달간 임시 방학을 하고 고급 학년 학생들로 회장 보위대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 「광복 50돌 특별기획-만주벌에 묻힌 독립함성 연변 사학자 자전거 답사기」(『한겨레』, 1995. 1. 15)
  • 네이버(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1500289106001&edtNo=5&printCount=1&publishDate=1995-01-15&officeId=00028&pageNo=6&printNo=2123&publishType=00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