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延吉縣 志仁社 忠儉堂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지인사 소모녹구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조선인 서당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북간도 연길현 지인사 소모녹구(小母鹿溝) |
북간도 연길현 지인사 소모녹구(小母鹿溝)에서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된 조선인 서당.
충검당은 조선인 자녀들이 한자를 깨우치고 한문을 읽을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충검당은 당시 이주 조선인들의 자녀들에게 한문을 가르쳤던 서당 형식의 교육 기관이었다. 이주 조선인들이 모이는 마을에는 마을마다 자녀 교육을 시키는 교육 기관이 있었는데, 일부 마을에서는 유지들이 자기의 서재에서 가르쳤고 일부 마을에는 순전히 동네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의 성원으로 설립된 서당도 있었는데 충검당의 경우 유지의 서재에 호를 붙인 경우로 보인다. 당시 충검당에는 15명 정도의 학생이 있었다.
충검당에서 가르친 교과목들로는 『맹자』, 『논어』, 『소학』, 『계몽편』, 신간독(新簡讀), 습자 등이 있었다. 이러한 교과목을 보면 충검당에서는 주로 봉건적인 전통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