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

한자 延吉縣 公立 第17 初等 小學堂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화전자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관립 초등 소학당
설립자 양석두
개교 시기/일시 1907년
최초 설립지 북간도 연길시 화전자(樺甸子)
정의

북간도 연길시 화전자(樺甸子)에서 1907년에 이주 조선인 자녀들을 교육 대상으로 설립된 관립 소학당.

교육 목표(교훈 포함)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의 교육 목표는 이주 조선인 자녀들에게 중국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시킴으로써 중국인으로 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변천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의 설립자 겸 제1대 교장은 양석두(楊石頭)였고 학생은 140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한족 학생이 2명 있었으며 교사는 5명이었다.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은 당시 끊임없이 이주해 들어오는 조선인들에 대한 동화 정책의 하나로 중국 정부에서 시행한 관립 학교 설립 정책에 따라 설립되었던 관립 학교이다.

당시 중국 정부는 조선인 자녀들을 교육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방법을 활용했다. 첫째, 조선인 학생과 한족 학생이 함께 수학하는 관립 학교를 설립하는 방법, 둘째, 조선인 사립 학교를 관립 학교로 전화하는 방법, 셋째, 한족 학교에 조선인 학급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 또한 이와 같은 상황 아래 설립되었다.

교육 활동

연길현 공립 제17 초등 소학당에서는 중국어와 중문으로 학생들을 가르쳤는바 조선인 자녀들은 반드시 중국어와 중문을 알아야 했다. 따라서 일부 중국어와 중문을 모르는 조선인들을 위해 과도기를 두었는데, 우선 중국어와 중문자음을 일정 정도 공부한 다음 교과 내용을 공부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6개월 정도 훈련을 거친 후 순수 중국어로 된 수업을 듣게 하였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