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勝地 書堂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승지촌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서당 |
|---|---|
| 설립자 | 이주 조선인 |
| 개교 시기/일시 | 19세기 말 20세기 초 |
| 최초 설립지 | 북간도 연길현 용지향 승지촌 |
북간도 연길현 용지향 승지촌에서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된 조선인 서당.
승지 서당은 이주 조선인의 자녀들에게 글공부를 시키고 한문을 익히게 하고자 설립된 것이다.
승지 서당의 교과목 중에는 『맹자(孟子)』, 『소학(小學)』, 『대학(大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초등소학, 습자 등 전통 서당의 교과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동국사략(東國史略)』, 수신(修身) 등 개량 서당에서 가르쳤던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이주 조선인 자녀들에게 단순히 글만 깨우칠 것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와 역사 또한 습득하게 하려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