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동재

한자 北洞齋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조선인 서당
설립자 이주 조선인
개교 시기/일시 19세기 말 20세기 초
최초 설립지 북간도 화룡현 추유구자(樞楡溝子) 북동
정의

북간도 화룡현 추유구자(樞楡溝子) 북동에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설립된 조선인 서당.

교육 목표(교훈 포함)

북동재의 교육 목표는 조선인 자녀들에게 한문과 문화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변천

북동재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무렵 설립되었다. 이주한 조선인들은 이주 지역에 정착한 뒤 생계 문제가 해결되자마자 바로 자녀들의 교육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위해 서당 설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주 조선인들은 십여 호만 되어도 서당을 차려 자녀 교육을 꾀했다고 한다. 북동재는 설립 초기 학생이 10명 정도였다.

교육 활동

북동재에서는 한문, 역사, 천자문, 계몽편, 사략, 통감, 습자 등의 교과목을 가르쳤다. 한자와 한문을 중심으로 내용은 역사에 편중하여 가르쳤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가운데 역사나 사략, 또는 통감은 전형적인 역사서였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