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昌林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정의부 6중대 2소대장 |
| 출생 시기/일시 | 1903년 |
| 몰년 시기/일시 | 1928. 11. 9. |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일제 강점기 중국 동북 3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창림의 본명은 김원국(金元國)으로 1903년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 후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운남 군관 학교(雲南軍官學校)를 졸업하였다. 1925년경부터 남만(南滿)에서 정의부(正義府) 6중대 2소대장으로 활동하면서 1926년 9월 통화현(通化縣) 쾌대모자(快大帽子) 등지에서 상조계(相助契)라는 친일 단체를 조직,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방해하던 한의사 신한철(申漢哲)과 그의 가족 전원을 사살하고 상조계를 토벌하였다.
이 사건 뒤 통화 일본 영사관 경찰은 김창림을 끝까지 추적하여, 결국 9월 14일 대원 서상진(徐尙眞), 김용호(金龍浩), 심영준(沈永俊) 등과 함께 중국 보갑대(保甲隊)에 체포되었다. 1927년 3월 9일 대련 지방 법원(大連地方法院)에서 사형을 선고 받고 여순(旅順) 감옥에서 복역하다가 1928년 11월 9일 순국하였다.
199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