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진

한자 金宗鎭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홍성 만세운동|신민부|재만 조선 무정부주의자 연맹|재만 한족 총연합회
출생 시기/일시 1901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0월
활동 시기/일시 1929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29년 8월
추모 시기/일시 1968년
추모 시기/일시 1977년
추모 시기/일시 1990년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내현리
거주|이주지 만주 봉천
활동지 충청남도 홍성
활동지 운남성 곤명
활동지 요령성 영안현 영고탑
활동지 흑룡강성 해림현
활동지 길림성 영안현산시역(山西驛)
정의

일제 강점기 북경과 만주 일대에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가계

김종진(金宗鎭)[1901~1931]은 호가 시야(是也), 이명은 심웅(沈雄)이며,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김상용(金尙容)의 11대손이자 백야김좌진(金佐鎭)의 6촌 동생이다. 부친은 김영규이고 모친은 청송 심씨이다.

활동 사항

김종진은 1901년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내현리에서 양반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3월 홍성의 만세 운동을 지휘하다가 주동자로 구속되었으나 동년 6월에 석방되었다. 그 후 서울의 중동 중학(中東中學)에 학적을 두고 지하 운동에 투신하였다.

김종진은 1920년 4월 봉천(奉天)으로 망명하여 형인 김연진(金淵鎭)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다가 무기 반입 사건에 연루되어 같은 해 가을 다시 북경(北京)으로 피신하였다.

그는 북경에서 이세영(李世永), 조성환(曺成煥), 이회영(李會榮) 등 선배들과 교류하면서 내외 정세를 관망했다. 1921년 상해 임시 정부 법무 총장 신규식(申圭植)의 소개로 운남성(雲南省) 군관 학교 교도대(軍官學校敎導隊)에 입대하였다. 1925년 4월 졸업 후 남경(南京)과 한구(漢口) 등을 돌며 동지 규합에 나섰다. 1927년 10월 북간도로 가서 김좌진신민부(新民府)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1929년 7월 김종진은 이을규(李乙奎) 등과 함께 재만 조선 무정부주의자 연맹(在滿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을 조직하고 그 대표가 되었다. 이 무렵 김좌진의 위탁으로 신민부의 개편 작업에 착수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교민의 자치단체로서 재만 한족 총연합회(在滿韓族總聯合會)를 결성하고 모든 조직을 일원화하였다. 김종진은 조직부 겸 농무부를 맡아 교민의 집단 정착 및 민심의 안정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1931년 공산당원에게 해림역(海林驛) 부근에서 암살당했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1977년 대한민국 건국포장,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이을규, 『시야 김종진 선생전(是也 金宗鎭 先生傳)』(한흥 인쇄소, 1963)
  • 독립운동사 편찬 위원회,『독립운동사』5 (국가 보훈처, 1973)
  • 국가 보훈처,『대한민국 독립 유공자 공훈록』4 (국가 보훈처, 1987)
  • 박환, 『한인 아나키즘 운동사』(선인, 2005)
  • 박환, 「˂한족 총연합회˃의 결성과 그 활동」(『한국사 연구』52, 한국사 연구회, 1986)
  • 『동아 일보』(1931. 9. 11)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