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학원

한자 光明學園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교육 기관
개교 시기/일시 1922년
최초 설립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옛 북간도 용정]에서 1922년에 설립된 일본 외무성 재외 지정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광명 학원은 일제가 북간도에서 친일파를 양성하고 문화적 침략을 감행하며 노예화 교육을 하기 위해 설립한 학교이다.

변천

광명 학원은 1922년 2월 일본인 히다카[日高丙子郞]가 용정에서 광명회를 설립하면서 비롯되었다. 광명회는 “인종, 종교와 계급의 범위를 초월하여 서로 사랑하고 동정하며 천하일가(天下一家), 사해형제(四海兄弟)의 친절을 다하고 비도(非道)·폭루(暴屢)·원한·투쟁 등의 죄악을 제거하고 동심(同心) 협력하여 교육에 힘쓰고 산업에 힘을 다하며 지덕(智德)을 연마하고 정도(正道)를 향상시켜 자유와 안녕이 넘치는 평화와 광명의 낙원을 이룬다” 라는 목적하에 설립되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가 파견한 문화 침략 기구로서 친일파를 끌어들이고 교육의 수단으로 대중을 마비시킴으로써 반일 투쟁을 포기하고 순복하는 노예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광명 학원의 산하에는 영신 중학교[광명 중학부]·영신 소학교[광명 소학부]·광명 고등 여학교·광명 여학교·광명 어학교·광명 사범부·광명 유치원 등 7개의 교육 기관이 계열적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교육 활동

광명 학원광명회의 소속으로 일본 외무성의 재외 지정 학교였다. 학원 운영비는 모두 일본 정부 외무성에서 직접 지원하였기 때문에 재정이 풍성했고 규모가 컸으며 설비가 잘 갖춰져 있었다.

광명 학원 산하의 학교는 각 학교마다 평균 140여 명의 학생이 재학 하였으며 그 가운데는 여학생이 총 학생 수의 35.8%를 차지하였다. 교육 제도는 보통학교와 같았고 일본 중소학교의 학제를 따랐으며 교과서도 일본 중소학교의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광명 학원은 유치원으로부터 중학·사범 학교까지 갖춘 노예화 교육 체계였다.

참고문헌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중국 조선족 교육사 편찬 위원회,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박금해, 『일제의 동북 조선족 식민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2(연변교육출판사, 2003)
  • 허청선, 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