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顯德府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제도 | 발해의 15부 중 하나인 중경 현덕부 |
|---|---|
| 제정 시기/일시 | 747년∼751년 |
| 개정 시기/일시 | 755년 |
| 개정 시기/일시 | 785년 |
| 관할 지역 | 길림성 화룡현 북고성촌 남동쪽 |
발해의 15부 중 하나인 중경 현덕부.
현덕부(顯德府)는 오경(五京)의 하나인 중경(中京)이 병치되어 중경 현덕부라고 통칭한다. 중경 현덕부는 발해의 두 번째 수도이다. 발해 제3대 문왕(文王)대흠무(大欽茂)[737∼793]가 747∼751년 사이에 이전의 수도였던 돈화 분지(敦化盆地)에서 천도한 곳이다.
문왕은 부왕인 무왕의 대외 정복 정책에서 벗어나 국내 정치 개혁을 추진해 나갔는데, 그 일환으로 천도를 실시하였다. 천도 이유에 대해서는 현덕부 지역의 철을 비롯한 자원과 두도 평원을 중심으로 한 농업 생산력 증대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및 신라와 외교를 펼치는 데 있어서도 유리한 지리적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