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산 산성

한자 後城山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하화산진 곽가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산성
크기 둘레 4.65㎞
조성|건립 시기/일시 고구려 중기 이후
현 소재지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하화산진 곽가촌
정의

요령성 장하시에 위치한 고구려 석축 산성.

건립 경위

후성산 산성고구려가 요동으로 진출한 5세기 이후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협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 성산 산성에 비해 성벽의 축조 방식이 정연하지 못한 것을 보면, 성산 산성보다는 늦은 시기에 급하게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위치

산성은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庄河市) 서부의 하화산진(荷花山鎭)에 위치한다. 성산 산성이 있는 전성산(前城山) 서북의 협하산(夾河山)과 홍립자산(紅砬子山)의 산 능선상에 자리한다.

성산 산성후성산 산성 사이에는 협하(夾河)가 있으며, 두 성 사이는 직선 거리로 약 1.5㎞에 불과하다. 협하는 전성산 동북부의 요령자(腰岺子)에서 발원해, 동북에서 서쪽으로 흐르다가 벽류하(碧流河)에 유입된다.

이 두 산성은 그 위치상 요동의 방어선이 차단하지 못한 적군의 동남진이나 혹은 요동 반도 남단에 상륙한 적의 진출을 차단하는 것이 주목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형태

후성산 산성의 평면 형태는 불규칙한 평행 사변형이다. 산성의 지세는 서고동저, 남고북저이다. 후성산 산성 동쪽의 홍립자산은 해발 334m이고, 서쪽의 협하산은 해발 481m 이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4.65㎞이며, 산성은 전체적으로 서남-동북 방향이다.

성문 3개, 치 5개, 요망대 1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남문과 북문은 홍립자산과 협하산 두 산 사이의 낮고 오목한 곳에 위치한다.

현황

협하(夾河)를 사이에 두고 성산 산성과 마주한 후성산 산성은 성벽의 전체 둘레가 4.65㎞이다. 성문은 총 3개로, 계곡 양쪽에 설치된 북문과 남문 중에서 남쪽이 정문이다. 남문 앞으로는 자연 차단벽이 있고, 성문에는 적대가 설치된 옹성 구조로 있다. 남문 양쪽으로는 약 2m 높이의 석축 성벽이 능선을 따라 축조되었는데, 상단부의 폭은 약 4m이다.

남동벽에서 동벽에 이르는 구간에는 한 변의 길이가 0.3m 내외인 방형 돌구멍이 1.7m 정도의 간격으로 확인된다. 돌구멍은 성벽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1.2m 가량 떨어져 있으며, 깊이는 0.5m 내외이다.

동벽에는 성벽 축조 당시의 작업 구간으로 보이는 흔적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보통의 고구려 성벽에서는 쉽게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산성이 급하게 축조되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동벽과 북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일부 여장의 흔적도 남아 있다. 성에서는 치 5개와 망대 1곳이 확인되었다. 후성산 산성은 협하산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의의와 평가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에 위치한 후성산 산성은 고구려 중기 이후에 축조된 산성이다. 인근의 성산 산성과 함께 벽류하 일대를 방어하던 중요 고구려 산성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王禹浪· 王文軼,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 出版社, 2008)
  •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西安地圖出版社, 2009)
  • 大連市文物考古硏究所,「大連城山山城2005年調査報告」(『東北史地』2006-4, 2006)
이전 TOP